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UBE, 총장 공병영)는 10월 27일부터 ‘2026학년도 전기(1학기) 석사, 박사 신·편입생 모집'을 시작한다.
2003년 개교한 UBE는 2026년 교육비전으로 ‘뇌기반 융합리더십(Brain-Based Convergence Leadership)’을 제시했다. 이는 뇌과학 기반의 인간 이해와 학습·의사결정 원리를 축으로, AI·인문·헬스케어·심리·동양철학 등 다양한 영역을 융합하여 지속가능한 문명 전환을 이끄는 리더십을 의미한다.
UBE는 이러한 철학을 토대로, 뇌과학·인지과학·신경과학을 기반으로 한 교육학, 철학, 심리학, 코칭학, 동양학 등 다양한 학문을 융합하여 인간 뇌의 무한한 가능성과 의식의 진화를 탐구하는 융복합 전문대학원으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두뇌훈련 분야의 국가공인 자격증 ‘브레인트레이너’ 발급기관으로서, 두뇌활용 기반의 산업화와 학문화를 선도하며 국내외 뇌교육의 학문적 위상을 확립해왔다.
뇌교육학과 — AI 시대를 선도할 뇌융합 전문가 양성
UBE의 핵심 학문인 뇌교육학과는 AI 시대를 맞아 ‘AI뇌융합 전공’을 신설하여 미래 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 이 전공은 인공지능과 신경과학, 심리학, 교육학 등을 융합하여 AI 활용 브레인트레이닝 및 뇌교육인성 프로그램 개발 전문가를 양성하는 데 목표를 둔다.
특히 ‘뇌교육인성 전공’은 인성교육을 단순한 지식이나 도덕교육의 차원을 넘어, 뇌과학 기반의 인간 이해를 바탕으로 자기조절력·감정인지·공감 능력 등 핵심 정서·사회적 역량을 체계적으로 함양한다.
학습자의 감정·사고·행동을 통합적으로 다루며, AI 시대의 인성 리더십과 인간 중심 교육 패러다임을 구현할 전문가를 양성한다.
또한, ‘뇌건강 전공’은 뇌파(EEG) 등 과학적 측정 장비를 활용해 뇌기능과 건강 상태를 평가·처방하는 전문 역량을 기른다. 이를 통해 융합적 사고력과 실천력을 겸비한 뇌융합 전문인재를 배출하고 있다.
상담심리학과 — 뇌기반 통합적 상담 및 심리치료, 미래형 통합상담 전문가 양성
상담심리학과는 뇌과학과 심리학의 융합을 통해 트라우마 회복, 정서조절,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뇌기반 심리치료 이론과 상담기법을 체계적으로 교육한다. 신경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신체, 정서, 인지, 영성을 아우르는 통합적 상담 모델을 제시하며, 심리·정신건강·교육현장·조직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할 실무형 상담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지구경영학과 —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ESG 경영 리더 양성
세계 최초로 ‘지구경영학’을 학문적으로 정립한 지구경영학과는 기후 위기와 지속가능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자 ‘탄소중립·ESG 경영 전공’을 신설했다. 이 전공은 데이터 기반의 ESG 성과 평가,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분석 등 실무 중심의 교육을 통해 ESG 컨설턴트와 지속가능경영 전문가를 양성한다.
또한, 지구시민교육을 기반으로 글로벌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는 ‘지구경영 전공’과 국토의 균형 발전을 연구하는 '국토관리 전공'은 균형 있는 지역발전과 환경정책을 연구하여 인류와 지구가 직면한 위기에 대응하는 실천적 리더를 길러낸다.
통합헬스케어학과 — 과학과 전통이 융합된 통합치유 전문가 양성
초고령화 시대, 통합헬스케어학과는 뇌과학과 생리학 등 과학적 접근과 전통적 자연치유를 융합하여 신체·정신·의식의 통합적 건강관리 시스템을 연구한다. 명상·기공·자연치유 등 보완·대체의학적 기법을 기반으로 신체와 정신의 균형을 회복하는 ‘명상·통합치유 전공’과, 항노화 전략·면역력 향상·생활습관 개선 등 자연치유 기반의 웰니스 관리능력을 함양하는 ‘통합헬스케어 전공’을 운영한다.
이 과정을 통해 과학과 인문을 아우르는 웰니스 중심의 통합치유 전문가를 양성한다.
국학과·동양학과 — 인간 내면과 문명정신의 원형을 탐구하다
UBE의 국학과는 한민족 고유의 정신문화와 철학적 사유를 토대로, 인간 중심의 가치철학과 문명 전환의 관점을 탐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역사·철학·교육학을 아우르며 한국 사상의 핵심인 ‘홍익인간’ 정신을 인류보편적 윤리로 재해석하고, 동서양 사유의 비교를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문명 철학을 제시한다.
동양학과는 고전과 현대학문의 융합을 통해 **인간 이해와 의사결정, 삶의 통찰을 연구하는 학문적 장(場)**이다. 유가·도가·불가를 비롯한 동양의 철학적 원리를 현대적 언어로 해석하며, 동양적 지혜를 바탕으로 한 리더십, 조직문화, 심신통합적 사고의 현대적 적용을 연구한다.
명리학의 과학적 활용 가치를 통해 진로·직업적성 상담, 미래예측 등 라이프 컨설팅 전문가 및 교수요원을 양성하는 데 목표를 둔다. 또한 AI 시대의 인간 내면 회복과 자기성찰·인문학적 통찰력·윤리적 감수성의 함양을 교육의 본질로 삼는다.
AI가 대체할 수 없는 인간의 힘, 뇌로부터 시작된다
공병영 총장은 “AI가 인간의 노동과 사고를 대체하는 시대일수록 인간의 고유한 가치와 창의성은 뇌의 자각과 활용에서 비롯된다”며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는 뇌의 철학과 과학, 인성의 통합을 통해 인류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여는 교육과 연구에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UBE는 AI·뇌융합 시대의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선도하며 《인성교육연구》, 《선도문화》 등 KCI 등재 학술지를 발행하고 인성교육연구원, 뇌교육연구소, 국학연구원 등 부설기관의 활동을 통해 연구와 현장을 잇는 학문생태계를 구축해왔다.
입학원서 접수와 서류제출은 모두 온라인 지원시스템에서 오는 10월 27일부터 진행된다. 모집과정은 석사 및 박사 신·편입생이며 지원자는 학사학위 및 석사학위 소지(예정)자 또는 동등자격 소지자로 서류 및 면접심사를 통해 선발한다. 자세한 모집요강과 학과별 소개는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홈페이지(www.ube.ac.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입합문의 및 상담 041-529-2648, 1577-7369 입학처
글. 장인희 객원기자 heeya717@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