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영국 최고의 논픽션 베일리 기포드상 최종 후보!
[선데이 타임스] [텔레그래프 사이언스] 선정 올해의 책
[더 타임스] [월스트리트 저널] [커커스 리뷰] 추천
- 2009년, MIT 연구팀은 생쥐의 편도체에서 특정 학습에 깊이 관여했던 세포들을 선택적으로 제거했다.
- 그러자 생쥐는 자신이 학습한것을 잊어버렸다. 기억이 삭제된 것이다.
- 과학의 발전으로 인간은 쥐의 뇌에 전극을 심어 나쁜 기억을 긍정적인 기억으로 바꾸거나 전혀 새로운 기억을 심을 수도 있게 되었다.
- 인공지능, 휴먼 브레인 프로젝트, 로봇 팔.... SF 영화에서나 가능할 법한 일들. 뇌의 비밀이 밝혀지는 날이 머지 않은 걸까?
- 마음의 본질은 무엇일까? 뇌는 어떻게 생각을 만들어내는가? 인간의 행동은 어떻게 결정될까?
- 아리스토텔레스, 갈릴레이, 데카르트를 거쳐 AI와 최신 신경과학연구까지. 인간의 가장 깊은 비밀 뇌를 이해하기 위한 눈부신 시도들
뇌에 관한 인간의 지식은 어디까지 발전했는가
그럼에도 왜 여전히 ‘모른다’라고 말하는 것이 가장 진실에 가까운가
뇌에 대한 연구는 이미 SF영화에서나 볼 수 있던 수준으로 발전했다. 2009년, MIT의 어느 연구팀은 생쥐의 편도체에서 학습 과제를 수행하는 중 높은 수준의 단백질을 발현시켰던 세포들을 선택적으로 제거했다. 그러자 생쥐는 자신이 학습한 것을 잊어버렸다. 기억이 삭제된 것이다.
광유전학의 발달로 연구자들은 생쥐의 기억을 더욱 깊이 조작할 수도 있게 되었다. 어떤 연구자들은 광유전학 기법으로 쥐의 뇌에 거짓 기억을 심거나 완전히 새로운 기억을 만들어내기도 했는데, 그 결과 쥐는 생전 처음 접하는 냄새를 기억하는 모습을 보였다.(315쪽) 그러나 이것이 이제 우리에게 불가능이 없다는 뜻은 아니다.
읽고도 믿기 힘든 이러한 실험 결과들만 놓고 보면 이미 뇌의 비밀을 푸는 열쇠에 가까이 다가선 것 같지만, 저자는 뇌의 실체를 밝히려는 수백 년 간의 노력과 그 과정에서 발견한 사실들, 그리고 이 같은 통찰을 이끌어낸 기발한 실험들을 소개하면서도 여전히 인간은 뇌에 관해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것이 훨씬 많으며 ‘우리는 모른다’라는 명제가 가장 진실에 가깝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뇌를 영원히 이해할 수 없는 것일까?
마음의 본질은 무엇일까? 뇌는 어떻게 생각을 만들어내는가?
선사시대에서 현대까지 뇌를 이해하기 위한 눈부신 시도들
《뇌 과학의 모든 역사(원제: The Idea of The Brain, 심심刊)》는 지금은 잊힌 이들을 포함하여 당대 뛰어난 과학자들의 치열한 논쟁과 기발한 실험 들을 살펴봄으로써 이들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뇌가 생각을 만들어내는 기관이라는 사실을 규명하고, 뇌의 기능을 증명했는지에 관해 이야기한다.
맨체스터대학교의 생명과학부 교수이자 동물학자인 매튜 코브는 이 책에 선사시대에서 21세기에 이르기까지, 생각과 마음의 기원을 탐색하는 뇌 과학의 방대한 역사를 담았다. 이 책에서 그는 뇌 과학의 역사를 과거와 현재, 미래로 나누어 수백 년간 우리가 뇌에 대해 알게 된 사실을 시대순으로 정리하며, 인류가 뇌를 이해하는 방식의 변천사와 빛나는 통찰을 지적일 뿐만 아니라 유머러스하게 풀어낸다. 뇌 자체는 물론 뇌 과학과 인류에 깊은 경이감을 느끼게 해주는 이 책은 가장 뛰어난 논픽션 작품을 뽑는 영국 베일리 기포드상 2020년도 최종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뇌 과학자 정재승은 “뇌 과학 책들이 범람하면서도, 정작 뇌 과학의 역사를 제대로 다룬 책이 없었다는 점에서 이 책은 출판계나 학계 모두에 각별히 소중하다”고 말했다.
아리스토텔레스, 갈릴레이, 데카르트를 거쳐 AI와 최신 신경과학 연구까지
우연한 발견과 논란, 무너진 가설들로 가득한 흥미진진한 여정!
1부 ‘과거’에서는 심장 중심 관점에서 시작해 과학의 점진적인 발전을 따라 17세기에서 20세기에 이르기까지 뇌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관점 변화를 서술한다. 2부 ‘현재’에서는 지난 70여 년 동안 뇌를 컴퓨터에 비유하면서 뇌에 대한 우리의 지식이 어떻게 발달했는지를 다룬 뒤, 사실상 한편에서는 이제 우리가 뇌를 알아가는 일에서 교착 상태에 이르렀음을 느끼고 있다는 결론을 내린다. 3부 ‘미래’에서는 지금까지 이어진 뇌에 관한 연구들이 가진 한계와 우리가 직면한 문제들을 살펴본다.
과거의 사상가들이 뇌의 기능을 알아가는 과정에서 어떤 어려움을 겪었는지 이해하는 것 또한 우리가 목표를 이루기 위해 지금 반드시 해야 하는 기초 작업이다. 현재의 무지를 과거에 겪었던 패배의 흔적이 아니라 앞으로 무엇을 발견해야 하는지, 또 그 해답을 구하기 위한 연구 프로그램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지를 알려주는 도전의 대상으로 보아야 한다. (27쪽)
뇌과학자 정재승 추천평 (뇌과학자, [과학콘서트], [열두 발자국] 저자)
어마무시하게 재미있는 뇌 과학의 역사책! 이 책 한 권으로 마음과 정신을 탐구해온 인류의 발자취를 함께 따라가 보시길 바란다. 뇌과학의 역사가 바로 '나는 누구인가?'를 추적해온 인류의 역사이기도 하니까
글. 이지은 기자 smile20222@brainworld.com | 사진 및 자료출처 = 사진 및 자료출처 = YES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