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 ‘지구경영, 홍익에서 답을 찾다’ 출판기념회 및 세계지구시민운동연합 대회

[포토] ‘지구경영, 홍익에서 답을 찾다’ 출판기념회 및 세계지구시민운동연합 대회

세계지구시민운동연합은 ‘지구경영, 홍익에서 답을 찾다’ 출판기념회 및 세계지구시민운동연합대회를 17일 오후 6시 30분 서울 더플라자호텔 별관 그랜드 볼룸에서개최했다.  

‘지구경영, 홍익에서 답을 찾다’는 이승헌 글로벌사이버대학교 총장과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한국명 이만열) 교수가 우리나라의 건국이념이자 교육이념인 홍익철학이 현 지구와 인류가 안고 있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답이라는 것을 제시했다. 이 날 17개국에서 각국 지구시민운동연합 대표들이 참석하여 세계지구시민운동연합 대회를 개최했다.

▲ 지난 17일 서울 더플라자호텔별관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세계지구시민운동연합대회에서 '지구시민선언문'을 낭독하는 17개국 대표들.



▲ 지구시민운동연합 17개국 대표들은 각국의 언어로 지구시민선언문을 낭독했다.


▲ 전세계에서 지구시민운동을 이끄는 17개국 대표들.


▲ '지구경영, 홍익에서 답을 찾다'의 공저자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교수는 "이제는 지구 차원에서 인류의 미래를 생각해야 할 때"라고 토로했다.


▲ '지구경영, 홍익에서 답을 찾다'의 저자 이승헌 총장은 "지동설로 인류의식이 진화했듯 지구경영이라는 큰 의식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정세균 국회의원은 “2020년까지 새로운 지구시민 1억 명 양성에 크게 공감하며 지구시민운동에 무궁한 발전이 있기를 바란다”고 축사를 전했다.


▲ 김장실 국회의원은 "지구시민운동은 정신문화 한류가 될 것"이라고 공감을 표했다.


▲ 윤정일 서울대 명예교수는 '지구경영, 홍익에서 답을 찾다'를 우리 시대의 필독서로 각 장에 담긴 가치를 설명했다.


▲ 지구경영자로 성장하는 벤자민인성영재 학교 학생들이 지구시민운동의 메시지를 담아 공연을 펼쳤다.


▲ 17일 세계지구시민운동연합대회는 이상수 전 노동부장관의 건배사로 마무리 되었다.


글. 사진  강현주 기자 heonjukk@naver.com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