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의 일자리 변화에 어떻게 대응하나
기술진보로 촉발된 미래의 일자리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인간 고유의 역량을 키우고 활용할 수 있는 사회 시스템과 발전된 기계의 힘을 이용하여 혁신을 주도해나가는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그 가운데 변화된 일자리 환경에서 인간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교육 시스템의 혁신이 중요하다. 획일적인 교육에서 맞춤형 교육 시스템으로 혁신해야 한다.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위원회는 학교 시스템의 혁신으로 △생각하는 힘과 문제 해결력을 기르는 교육 강화△협업·소통형 인재 양성을 위한 사회·정서적 교육 실시 △기계의 언어를 배우는 코딩 교육강화 △기술 진보에 대응하기 위한 디지털 교육 강화 △기업가 역량을 길러주는 교육을 제시했다.
평생교육으로는 △기술 변화에 대한 대응력 배양 △근로자의 재교육 시간 보장 △수요자 중심의 평생교육 실시를 제시했다.
교육의 기술기반 강화를 위해 △기술을 이용한 교육 환경의 혁신△시간·공간의 제약 없는 온란인 공개강좌 서비스 등을 제시했다.
아울러 미래위원회는 직업의 다양화와 기업의 인재경영 및 조직문화 개설 방안 등을 통한 역량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기술 진보로 발생할 수 있는 소외된 계층에 대한 사회적 안정망 보강 방안과 혁신을 통해 좋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기발 시스템 강화 방안도 제시했다.
글. 정유철 기자 npn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