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협상에서 성공하는 10가지 방법

연봉협상에서 성공하는 10가지 방법

불경기에도 연봉협상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내는 방법

 

직장 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연봉협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직장인이 가장 스트레스 받을 때는 ‘일은 똑같이 하는데 동료가 더 많은 연봉을 받을 때’ 라는 설문조사 결과도 있을 정도다. 그렇다면 연봉협상, 어떻게 해야 성공할 수 있을까?

연봉정보사이트 페이오픈(www.payopen.co.kr)에서는 연봉협상 시즌을 맞이하여 직장인들을 위한 연봉협상 가이드 10가지를 제시했다.

1. 자신의 가치를 분석하라.
연봉인상을 원한다면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해야 한다. 주식값은 신경 쓰면서 자기 몸값은 신경 쓰지 않는 직장인이 의외로 많다. 지난해 자신이 회사에 얼마나 이바지했는지 성과를 꼼꼼히 다져보고 화폐가치로 환산해보는 것은 연봉협상을 위한 기본 준비사항이다. 연봉정보업체를 통해 동 업·직종의 연봉을 비교분석 해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다른 사람의 조건을 알면 그만큼 유리하게 활용할 수 있다.

2. 미리미리 준비하라.
언제 연봉협상이 진행되는지는 대부분 예상할 수 있다. 최소 한두 달 정도 전, 지난해 진행했던 업무를 되짚어보며 자료를 수집·평가한다. 문서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는 것이 협상테이블에서 효과적이다. 내성적이거나 연봉협상이 처음이라면 담당자 또는 경영자의 성향을 파악하여 예행연습을 해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3. 전략을 세워라.
자신의 강점은 최대한 부각하고 약점은 아예 말하지 말라. 부정적 측면은 연봉협상 담당자가 알아서 충분히 말해준다. 내가 크게 이바지한 성과의 작은 일부를 가져가는 것이 당연하다는 인식을 심어 주어야 한다. 자신이 해당 조직에 왜 필요한지, 다른 직원과 어떤 점에서 차별화되는지 미리 생각해 둔다. 연봉협상 테이블에서는 적극적인 대화가 필요하다. 협상 담당자가 자신의 의도를 고의적으로 피하거나 연막을 쓴다면 정확히 설명해서 짚고 넘어간다. 연봉협상의 목표가 “돈”인 만큼 당차게 돈 얘기를 하자.

4. 당황하지 마라.
연봉인상률에 대한 논의 중 “회사규정이 5%로 정해져 있다”고 말하면 직장인 대부분은 “한계”를 느끼며 돌아선다. 규정임금이나 인상률에 꺾이면 안 된다. 규정임금은 “적정선”을 말한다. 공무원도 “특진” 제도가 있는 마당에 사기업은 잘 나가는 사람을 밀어줄 방법이 얼마든지 있다. “협상이 결렬되면 퇴사할 것입니까?”처럼 다소 과격해지는 언사에도 “다분히 고려해볼 수 있는 사항이지만 현재 회사를 사랑한다”며 현명하게 넘어가라. 내가 나가면 사람 새로 뽑아서 익숙해질 때까지 회사는 고역이다. 기회비용이 꽤 생긴다.

5. 상대방을 생각하라.
말은 바르고 정중하게 해야 한다. 중요한 자리에서 쉽게 말하면 상대에게 모욕감을 주거나 진지하지 않은 인상을 줄 수 있다. 연봉협상일도 선택할 수 있다면 담당자의 업무가 가중되는 월요일이나 주말 여가에 관심이 쏠리는 금요일은 피해서 정하는 것이 좋다. 그렇다고 협상 시 고분고분한 저자세는 차라리 연봉협상을 안 하는 것만 못하므로 주의하자.

6. 동료에게 알리지 마라.
연봉협상에서 동료는 같은 파이를 나눠 먹는 경쟁자다. 협상비결이 노출되면 동료가 나보다 먼저 사용할 수 있다. 이미 한번 들었던 이야기에 누가 귀 기울이겠는가? 연봉협상에 관한 이야기는 근로계약서에 도장 찍고 나서 해야 손해 보지 않는다.

7. 대안을 준비하라.
회사 측에서 제안한 연봉이 자신이 요구한 인상액보다 모자란다고 해서 지나치게 얽매이면 안 된다. 처음부터 자신의 실제 요구액보다 요구 수준을 약간 높게 책정해서 깎이는 부분은 감수한다. 설사 모자란 부분이 있다고 해서 우기는 것보다는 차선 보상책(연말 상여금 등)으로 받으면 된다. 연봉협상이 아주 안 좋게 끝나면 이직도 고려한다.

8. 회사의 현재 상황을 생각하라.
연봉협상 시점에는 ‘나’만 생각하고 놓치는 실수가 있다. 바로 재직 중인 기업의 현재 상황이다. 회사 경영상황이 좋지 않은데 홀로 연봉인상을 부르짖을 순 없다. 눈에 띄는 성과를 냈다면 당당히 권리를 주장하고 아니라면 과욕은 삼간다.

9. 선택과 집중하라.
평소에 업무를 관리한다. 업무성과 중 상중하를 가려서 중요한 업무에 더 많은 성과가 나도록 집중한다. 일상적 업무결과를 내세운다면 받아들여지지 않을 수도 있다. 원인도 모르고 상처받지 말로 결과로 말할만한 성과가 있는지 미리 점검해 보자.

10. 자신감을 가져라.
연봉협상이 일방적 통보가 아닌 ‘협상’이 되려면 자신 있게 준비한다. 회사 내에서 특별한 자리와 기업이 원하는 성과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존재감을 드러내도록 하라.

중요한 점은 회사의 어려운 상황 등으로 연봉협상에서 실패한다 해도 너무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것이다. 만성 스트레스나 우울증은 뇌를 ‘쪼그라들게’ 할 수 있다. 예일 대학교 연구팀은 지난 8월 심각한 우울증이나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사람은 집중력이나 기억력 저하, 무기력 등의 증상을 보이며, 전두엽 피질이 축소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예년과 달리, 기업의 성장전략이 중·단기 전략수립에서 연 단위, 빠르면 분기별로 수립되면서 일부 기업에서는 업무 목표수립과 평가도 빨라지고 있다. 이번에 만족할 결과를 얻지 못한다면 다음 연봉협상에서 더 나은 무기를 내놓을 수 있도록 미리 준비하는 것이 도움된다.

글. 김효정 기자 manacula@brainworld.com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