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사는 부부 10쌍 중 1쌍은 직장이나 학업 문제로 서로 떨어져 사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가 8일 발표한 '통계로 보는 서울시민 가족생활'에 따르면, 부부가 함께 살지 않는 '비동거부부' 가구는 지난 1995년 13만 1000가구에서 2010년 21만 1000가구로 15년 사이 61.1%나 늘었다.
배우자가 있는 '유배우 가구' 중 비동거부부가 차지하는 비중도 15년 새 5.8%에서 9.5%로 증가했다.
부부가 따로 떨어져 사는 가장 큰 이유는 직업(44.2%) 때문이었고, 그 다음은 학업(34.5%) 때문인 것으로 조사됐다.
1인 가구와 한부모 가정, 부부만 사는 가구, 조손 가정(부모없이 조부모와 손자녀가 함께 사는 가구)도 1995년 85만5876가구에서 2010년 164만 8842가구로 92.6%나 급증했다.
반면 부모와 미혼 자녀가 함께 사는 가정이나 3세대 이상이 함께 사는 가정은 같은 기간 181만9195가구에서 153만9도80가구로 15.4% 감소했다.
만혼과 미혼, 학업 연장, 취업 지연 등으로 자녀의 독립이 늦어지면서 부모와 동거하는 30대 미혼자녀가 크게 늘고, 은퇴 이후에도 가구의 생계를 책임지는 가구주도 증가하고 있다.
부모와 동거하는 30대 미혼자녀는 1995년 9만3559명에서 2010년 32만2313명으로 3.4배나 늘었고, 65세 이상 가구주 가운데 가구의 생계를 책임지는 가구주는 18만1394명에서 52만7590명으로 2.9배나 증가했다.
또한 미혼 가구는 1995년 37만4347가구에서 2010년 70만4663가구로 대폭 늘었고, 이혼 가구도 7만7720가구에서 26만789가구로 급증했다.
전체 가구 중 유배우 가구가 차지하는 비율도 1995년 76.6%에서 2010년 63.4%로 감소했다.
특히 결혼 적령기인 25~29세 여성의 미혼율이 40.1%에서 80.2%로 무려 두 배나 증가했고, 30~34세 미혼율은 11.2%에서 41.7%로 4배 가까이 늘었다.
글 윤관동 기자 kaebin@brainworld.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