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회식 불만 이유 1위, '예고 없이 진행되기 때문'

직장인 회식 불만 이유 1위, '예고 없이 진행되기 때문'

가장 많이 하는 술자리 회식, 직장인들 가장 싫어해

직장인 회식 불만 이유 1위가 무엇인지 밝혀졌다. 바로 '예고 없이 진행되기 때문'이었다.


25일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직장인 1,323명을 대상으로 회식에 대해 설문한 결과, 10명 중 7명이 현재 회식문화에 불만을 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직장에서 가장 많이 하는 회식은 '술자리 회식'으로 81.9%를 차지하고 있다. 이 외에 ‘맛집 투어 회식’(7.9%), ‘나들이 등 야유회 회식’(3.3%), ‘당구, 볼링 등 레포츠 회식’(1.6%), ‘연극, 영화 관람 등 문화회식’(1.4%) 등이 있었다.


회식은 주로 ‘2차’(57.2%)나 ‘3차’(20.9%)까지 이어지며, ‘1차’에서 끝난다는 응답은 19.7%에 그쳤다. 이런 회식문화에 대해 직장인 10명 중 7명(65.6%)은 불만을 품고 있었다.


직장인들이 회식에 가지는
불만 1위는 ‘예고 없이 진행되어서’(39.6%, 복수응답)였다. 다음은 ‘술을 강요하는 분위기라서’(33.9%), ‘회식 시간이 너무 길어서’(24.7%), ‘일 이야기만 하는 분위기라서’(22.5%), ‘음주 가무를 꺼리는 성격이라서’(21.3%) 등의 순으로 꼽았다.


‘선호하는 회식 유형’은 ‘맛집 투어 회식’(33.6%, 복수응답)이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연극, 영화 관람 등 문화회식’(30.2%), ‘술자리 회식’(25.2%), ‘당구, 볼링 등 레포츠 회식’(18.1%), ‘마사지, 스파 등 휴양회식’(17.8%) 등의 응답이 있었다.


반면, 꺼리는 회식 유형으로는 절반이 넘는 59.1%(복수응답)가 ‘술자리 회식’이라고 답했다. 계속해서 ‘나들이 등 야유회 회식’(26.1%), ‘당구, 볼링 등 레포츠 회식’(14.2%), ‘마사지, 스파 등 휴양회식’(10.5%), ‘연극, 영화 관람 등 문화회식’(8.9%)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하루에 한두 잔의 술은 심혈관계 질환이나 치매 예방 등에 좋다는 연구 결과가 많이 있다. 하지만 정도를 넘어 과음하게 된다면 뇌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만성적으로 과음하는 사람의 경우, 일반인보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고통받을 가능성이 더 큰 이유도 알코올이 뇌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회식자리에서 술을 지나치게 빨리 마시는 것 같다면 술잔 모양을 바꾸는 것이 도움된다. 위아래 넓이가 같은 직선형의 술잔으로 술을 마시면 위가 아래보다 넓은 곡선형 술잔보다 술을 천천히 마시게 된다.


또한 어려운 상사 등과 함께하여 취하면 안 되는 술자리에서는 토마토를 안주로 먹는 것이 도움된다. 토마토에 있는 수용성 성분이 간의 알코올 대사 관련 효소가 활성화되기 때문이다.


글. 김효정 기자
manacula@brainworld.com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