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인셀럽’ 첫 편 ‘학교폭력과 뇌’ 방송이 새로운 시선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브레인셀럽’은 창간 15주년을 맞은 국내 유일의 뇌 전문지 《브레인》이 뇌과학, 뇌공학, 뇌교육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초대해 사회적 이슈를 뇌를 통해 풀어보는 유튜브 방송으로 첫 편 주제로 학교폭력 문제를 다뤘다.
첫 편 초대 셀럽으로 참여한 이윤성 교사와의 인터뷰이다.
Q. 학교폭력 없는 학교를 위해 교사로서 어떤 노력과 태도가 필요하다고 보는가?
우리 교사들이 아는 건 정말 많은데, 삶의 경험과 성찰이 부족한 만큼 학교 현장에서 그것이 교사의 태도로 고스란히 드러나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아이들을 가르치는 교사의 자리에 있는 사람은 아는 것을 실천하고, 배운 것을 적용하는 노력이 특별히 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나는 아주 단순한 것부터 실천하자는 마음으로 아이들과 함께 맨발 걷기를 시작했다. 맨발 걷기를 꾸준히 하면서 우선 나 자신의 건강이 좋아지고, 정서적으로도 안정되면서 감정을 조절하는 힘이 생기는 것을 느꼈다. 맨발 걷기를 하면서 아이들과 대화도 더 많이 하게 되고, 생활 교육을 통해 자연스러운 소통과 교감이 이뤄지고 있다.
Q. 교사가 지도만 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과 함께 참여하는 과정을 통해 더 좋은 변화가 일어난 것 같다.
아이들과 함께 교사도 성장하는 교학상장이 아주 중요하다. 그런 점에서 생활 교육을 좀 더 적극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교과 교육, 인성교육, 폭력 예방 교육이 따로따로 동떨어져 있다보니 교육 효과가 나타나기 어렵지 않나.
학교폭력 문제와 관련해서 생활 교육의 중요성이 더 커진다. 이를 위해 필요한 조건이 두 가지 있다. 일단 일대일로 할 경우가 있고, 일대 다수가 있을 수 있는데, 먼저 일대일인 경우에는 ‘사랑’을 우선하고 ‘정의’는 그다음인 것이 좋다. 달리 표현하면, 관계를 다정다감하게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이다.
일대 다수인 경우에는 ‘정의’를 먼저 이야기해야 한다. 먼저 다 함께 지켜야 하는 규칙과 질서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개별적인 소통을 시도하는 것이 좋다. 이것이 생활 교육 차원에서 효과적이고, 교사들의 노력도 조금 더 단순해지면서 실천력은 높일 수 있다.
Q.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교사의 입장에서 무엇이 가장 중요하다고 보는가?
‘신뢰’라고 생각한다. 학생과 교사, 학부모 간의 신뢰. 학생이 의지할 수 있는 교사, 학부모가 믿고 상담할 수 있는 교사로서의 자질을 갖추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신뢰 받는 교사가 되기 위한 선행 조건은 교사 스스로가 건강하고 행복한 사람으로서의 태도를 갖고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결론은 ‘몸에서부터 시작하자’라고 할 수 있다.
몸을 건강하고 활기차게 단련하고 관리해서 정서를 안정시키고 감정을 조절하는 힘을 기르는 것이 학교폭력을 예방하는 근본적인 해결책이라고 생각한다.
글. 브레인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