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에 AIㆍAR로 더 안전한 '스마트 통합관제 플랫폼' 도입

인천공항에 AIㆍAR로 더 안전한 '스마트 통합관제 플랫폼' 도입

국토교통부, 육안 중심으로 운영되던 인천공항 공항관제시스템에 인공지능(AI)과 증강현실(AR) 기술 도입

국토교통부와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인천국제공항의 항공기 안전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미래 항공수요를 적기에 처리하기 위해 스마트통합관제플랫폼을 적극 도입한다고 10일 밝혔다.

스마트통합관제플랫폼은 관제탑에서 사용하는 여러 시스템을 최소한의 장비로 통합하고 첨단기술을 적용하는 미래형 관제시스템이다. 
 

▲ (스마트관제) 육안 중심 관제를 4차 산업 신기술 적용 관제로(이미지 출처=국토교통부 제공)

항공기 운항이 증가하고 항공기 지상 이동 동선이 복잡해짐에 따라 항공기가 관제사의 시야에서 벗어날 수 있고, 야간 및 안개 등으로 인해 가시거리가 짧아졌을 때 항공기가 지상 이동 물체와 충돌하는 상황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 (통합현시) CCTV 영상과 시스템 데이터를 증강현실로 통합 제공(이미지 출처=국토교통부 제공)

2024년 9월까지 진행할 1단계 사업은 제2여객터미널 계류장에 폐쇄회로(CCTV)로 들어오는 영상정보, 기상 및 지상 관측 정보, 레이더 정보 및 출․도착 운항정보 등 여러 화면에 나누어서 나타났던 다양한 데이터를 하나의 화면에서 한번에 볼 수 있는 증강현실을 제공하여 관제사의 상황 인지력을 높여준다.
 

▲ (시야극복) 차폐, 기상(안개, 강우, 강설), 거리 등으로 인한 시야 제한 극복(이미지 출처=국토교통부 제공)

 또한 기존 시설로 탐지가 어려웠던 구석구석에 위치한 항공기 이동상황을 시각화하고 항공기와 지상조업차량간의 위치, 거리, 이동 등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여 충돌 및 경로이탈 예측경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한층 더 안정된 관제환경을 조성할 예정이다.
 

▲ (인공지능) AI 활용 지시확인 일치 확인, 충돌 및 경로이탈 경보 제공(이미지 출처=국토교통부 제공)

이번 스마트통합관제플랫폼 구축사업을 계기로 인천공항은 항공기 지상 사고 예방과 관제환경 개선을 통해 공항의 안전을 한층 더 높일 것으로 예상되며, 또한 원격관제, 무인관제의 관련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미래공항 구축을 위한 기술을 축적하고, 향후 치열해지는 공항산업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교통부 주종완 공항정책관은“인천공항 관제서비스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승객들이 보다 안심하고 항공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공항안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글. 이지은 기자 smile20222@gmail.com | 사진 및 자료출처=국토교통부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