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30도를 넘는 초여름과 같은 무더위가 계속되는 가운데 자외선을 언제 발라야 할지 고민하는 이들이 많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15일 자외선차단제는 외출 30분 전에 노출되는 피부에 골고루 두껍고 꼼꼼하게 바르는 게 효과적이다며 자외선차단제의 올바른 사용법을 안내했다.
자외선차단제는 피부에 광노화를 일으키는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화장품이다. 차단효과는 SPF(자외선차단지수)와 PA(자외선차단등급)로 표기한다. SPF는 자외선B를 차단하며 숫자가 높을수록 차단효과가 크다. PA는 자외선A를 차단하며 +개수가 많을수록 차단효과가 높다.
자외선A는 유리창을 통과하므로 실내에서도 쉽게 노출될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 특히 오전 10시에서 오후 3시에 자외선이 가장 강하므로 될 수 있으면 어린이의 야외 활동을 피하는 것이 좋다.
자외선차단제 구입 시에는 식약청에서 심사를 받은 '기능성화장품' 문구가 있는 제품 중 사용목적과 피부타입에 맞게 선택한다.
산책, 출·퇴근 등 일상생활에서 간단한 야외활동을 할 경우는 SPF10~20/PA+ 이상의 제품을 고른다. 해양스포츠나 스키 등으로 장시간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는 SPF30 이상/PA++ 이상의 제품이 적절하다. 고지대처럼 자외선이 매우 강한 지역에선 SPF50 이상이 효과적이다. 휴가철 물놀이에 사용할 자외선차단제는 내수성, 지속내수성 표시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6개월 미만 유아는 자외선차단제 대신 긴소매 옷을 입히고, 어린이는 오일타입을 사용하되 눈 주위는 피해서 발라야 한다.
식약청 관계자는 "BB크림이나 파운데이션 등에 SPF, PA 등의 표시가 있는 복합기능성 제품도 식약청의 사전 심사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기능성화장품' 문구 여부를 확인하고 구매해야 한다'며 "자외선차단제 사용 도중 알레르기나 피부자극이 나타나면 즉시 사용을 중지하고 전문의 상담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