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수술 없이도 손떨림과 같은 수전증 치료가 가능해졌다.
세브란스 장진우 교수팀(신경외과)은 19일 지난 3월 중증 수전증(본태성 진전) 환자 2명에게 고집적 초음파뇌수술(MRgFUS; MR guided Focused Ultrasound)을 시도한 결과 손떨림이 멈추는 효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고집적초음파술은 MRI를 통해 뇌 안의 치료부위를 확인한 후 몸 밖에서 인체에 무해한 초음파를 머리 안으로 집중시켜 인접 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은 채 목표한 (뇌)조직만을 선택적으로 치료하는 치료법이다.
이번 시술은 과거 초음파는 뼈를 포함한 단단한 조직은 잘 통과하지 못해 뇌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사용할 수 없다는 기존 상식을 뒤엎은 치료법이다.
세계 최초로 초음파를 뇌신경치료에 시도한 이번 프로젝트는 미국 UVA에서 지난 1월 고집적초음파술을 이용해 수전증환자의 치료에 성공한 바 있고, 세브란스병원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성공적으로 수술을 마쳤다.
이번 수술방법은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본태성 수전증 환자들이나 건강상의 문제로 뇌심부자극술을 비롯한 수술적 치료가 어려운 경우에도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병원 측은 전했다.
과거 고주파를 이용한 전기응고술과 뇌심부자극수술을 사용해 치료를 했지만 제한적으로 발생하는 출혈이나 감염의 부작용이 있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감마나이프 치료법이 등장했지만 초고용량 방사선에 따른 부작용이 속출하여 시술이 보편화되지 못하고 있다.
장진우 교수는 "이번 수술은 간질, 뇌종양 등 다양한 신경계 질환에 치료로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며, "올 상반기부터 세계 최초로 난치성 강박장애 환자에 대한 고집적 초음파술의 연구가 이루어질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글·사진, 윤관동 객원기자 kaebin@brainworld.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