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수경의 미술치료 이야기 19편] 갱년기 우울과 치유법

[어수경의 미술치료 이야기 19편] 갱년기 우울과 치유법

어수경의 미술치료 이야기

일반적으로 감정은 많은 호르몬, 세로토닌, 아드레날린, 도파민, 엔돌핀, 옥시토신, 가바, 멜라토닌 등의 영향 아래 있다. 갱년기 때에는 이러한 감정 호르몬과 더불어 성호르몬의 영향도 크게 받아서 심리적 깊은 우울감이 찾아온다. 

남녀 모두 갱년기에 공통점이 있다. ‘내가 이러지 않았었는데 왜 이러는지 모르겠다, 요즘 이상해졌다, 울적하다, 사소한 일에 신경이 예민해지고, 감정 조절이 평소와 다르고 힘들다.’ 결국은 내가 왜 이럴까? 다시 생각의 원점에 선다. 

성호르몬의 감소는 사춘기 같은 갱년기를 맞게 하고, 평소와는 다른 생각, 다른 감정, 그리고 다르게 행동하는 자신을 보며 의아해진다. 육체적으로 다르게 경험되는 신체 변화가 심리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 


마음 감기인 우울

우울은 날씨에 가장 많이 비유되는 감정이다. 마음이 우중충해, 회색빛이야, 먹구름이 가득해, 표현은 다양하다. 마음의 비는 언제 그칠지, 그치기는 할지 기약이 없어 보일 때 더 무거운 마음이 든다. 

신체 면역력이 떨어지면 우리는 감기에 자주 걸린다. 마음에 면역이 떨어져도 다양한 심리적 증상들이 나타나는데, 갱년기는 몸과 마음에 면역력이 저하되고 적신호가 켜지는 시기이다. 

우울을 왜 감기에 비유하는 것일까? 모두가 한 번씩 크고 작게 겪는 것이어서? 앓고 나면 극복되는 가볍게 여기는 감정으로 생각해서일까? 아마도 그만큼 가깝게 내재 되어있는 감정, 그래서 관심을 써주지 않는 감정인 것도 같다. 하지만 우울은 약 먹고 낫는 감기처럼 가볍게 여길 질환은 아니다. 


우울할 때와 우울하지 않을 때 뇌 
 

사고하는 뇌와 감정을 담당하는 뇌 영역은 밀접하게 교류하며 소통한다. 전전두피질(사고의 뇌)는 변연계(감정을 느끼는 뇌 부위)를 조절하는 역할을 맡고 있는데, 변연계가 과활성화되면, 전전두피질의 기능이 방해를 받아서 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 우울 감정이 활성화되면 이성적 사고에 방해를 받는 이유이다. 

부정적 감정일 때, 뇌는 부정 편향이 강화되어 상황을 그대로 보지 않고 훨씬 더 부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Vuilleumier, 2005). 그래서 우울할 때 더 자신의 부정적인 면에 초점이 맞춰지고 치중하게 된다. 


그림에 나타난 심신 상태

우울은 진흙탕 같은 갯벌에 발이 빠져 있는 모습과도 같다. 나올 수 있을 듯한데 쉽지 않다. 몸이 꼼짝도 할 수 없고, 움직이지 않아도 빠지는 느낌이고, 움직여도 빠져드는 느낌이다. 하지만 나만의 요령을 찾으면, 빠져들지 않고, 그 안에서 스스로 조절 가능케 되면서 서서히 벗어나게 되는 것 같다.
 

사람마다 성격이 다르듯 우울 증상도 다를 것이고 성향, 상태, 상황에 따른 자신에게 적합한 치료법도 다를 것이다. 중요한 것은 나를 들여다보며 나를 이해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원래 나이보다 더 나이가 들어 보이는 50대 우울 여성의 나무, 사람, 집 그림이다. 겨울나무가 연상되듯 몇 개 없는 앙상한 가지들마저 곧 떨어질 것 같은 힘 없고, 자신감 없어 보이는 나무이다. 얼굴에 신경이 쓰이고, 그곳에 관심이 가는 만큼 더 자신감이 떨어지고 위축되는 심리가 나타나 있다. 또, 창밖의 풍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고, 마음이 외부를 향해 있으며, 활동하고 싶은 욕구가 있다. 하지만 그렇지 못해 관계의 결속력이 약해져 있고, 그로 인해 우울감이 높아질 수 있는 심리상태이다. 


우울 탈출하기

우울한 생각과 기분의 무게를 덜어내 주는 즉각적 방법은 “움직임”이다. 듣기만 해도 어렵다 생각 들지만 아마도 움직임을 활동으로 여겨서 그럴 것도 같다. 숨을 크게 들이마시고 소리 내어 내뱉기, 손 털기, 다리나 고개 흔들기, 입꼬리가 올라가게 양옆으로 당기기, 신체 두드리기, 스트레칭 등 작은 변화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동작은 생각보다 많다. 

신체의 신경이 건드려지면 움직임이 시작되는 것이다. 또 집 밖으로 나가보기, 산책하기 등 우울과 싸우는 최고의 기법은 벗어나려고 해보는 작은 시도, 자기 인식, 자기 관심이다. 나만의 방법을 미리 만들어 놓는 것도 좋다. 비트가 빠른 신나는 음악, 즐길 수 있는 색칠 도구, 동기부여가 되는 글이나 사진 등이 도움 된다. 

움직임을 시도하는 이유는 결국 긍정적 마음과 생각을 끌어내기 위함이고, 긍정 에너지가 생성되었을 때 감사함, 자신감, 효능감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뇌는 왜 당신이 우울한지 알고 있다고 한다. 그림을 통해 현재 상태를 이해하고 알아가면 내가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찾아볼 수 있고, 그림 상담을 통해 마음속 언어를 들여다보며 도움을 받는 것도 우울을 이겨내는 방법이다.

갱년기 우울, 세월이 흐르는 과정에 한번은 만나고 직면해야 하는 것 같다. 몸과 마음의 셀프 체크로 잘 관리해서 건강한 인생의 후반기를 준비하는 것도 지혜로울 것 같다. 


글. 어수경

임상미술치료학 박사, 미술치료수련전문가로 EO심리상담교육개발원 대표이다. 한국융합예술심리상담학회 상임이사, 학술위원을 맡고 있고, 서울대, 경희대, 차의과학대 출강 중이며, 공동저서로 『컬러플마인드 미술치료워크북』, 『아동상담론』 등이 있다.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