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편] 한민족의 창세신화 ‘마고’에서 찾는 지구인정신, 학술로 풀다

[1편] 한민족의 창세신화 ‘마고’에서 찾는 지구인정신, 학술로 풀다

국학원, 17일 국회헌정기념관서 33회 정기학술회의

▲ 지난 17일 국회헌정기념관에서 열린 마고학술회의에 참석한 귀빈들. 왼쪽부터 김장실 전 국회의원, 권기선 대한국학기공협회 회장, 박찬우 국회의원, 유성엽 국회의원, 권은미 국학원장.


인류는 고대로부터 지구를 하나의 생명체로 인식했다. 민족마다 이름은 달라도 ‘지구 어머니’라는 개념을 갖고 있었다. 대표적으로 서양에는 대지의 여신 ‘가이아’를 들 수 있다.

그럼 우리에게는? 한민족의 창세신화를 담은 《부도지》(신라 박제상 저)에는 지구 어머니의 성격을 나타내는  ‘마고’가 존재한다. 그러나 한민족의 창세신화라고 해도 마고신화와 그 의미는 한국인에게 낯설다. 이 마고신화가 담고 있는 조화와 상생, 평화정신을 21세기 물질문명에서 정신문명으로 대전환하기 위한 ‘지구인 정신’의 원형으로써 조명을 하는 첫 학술적 시도가 있었다.

사단법인 국학원은 지난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헌정기념관 대강당에서 ‘한민족의 창세신화 마고와 지구인정신’을 주제로 제33회 정기학술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학술회의에는 유성엽, 박찬우 국회의원, 김장실 전 국회의원, 권기선 대한국학기공협회 회장, 이성민 (사)우리역사바로알기시민연대 대표, 권은미 국학원장, 장준봉 장영주 국학원 상임고문을 비롯해 민족단체 대표와 각계 인사들, 그리고 시민 200여 명이 참석했다.

학술회의는 마고신화의 내용과 의미를 쉽게 이해하도록 애니메이션 영상을 방영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 지난 17일 국회헌정회관에서 열린 마고학술회의에서 개회사를 하는 권은미 국학원장.

개회사에서 권은미 국학원장은 “문화에는 어떤 행위나 살아가는 이치뿐만 그 민족의 삶이 담겨 있다. 마고문화는 우리의 삶 곳곳에 살아 숨 쉬고 있다. 역사로 인정받기 이전에 우리의 삶이자 문화이고 호흡이기에 오늘날 우리가 되살려야 될 분명한 이유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권 국학원장은 “세계적으로 인종차별, 종교·이념 대립으로 분열되어 있다. 마고 속에 담긴 지구어머니의 정신을 되살려 우리의 문화를 꽃피우고 민족통일뿐만 아니라 인류평화를 열어가는 근간이 되길 바라는 마음에 오늘 처음으로 시작했다.”고 개최 취지를 밝혔다. 

▲ 마고 학술회의에서 축사를 하는 장영주 국학원 상임고문.
 

장영주 상임고문은 축사에서 “혹자는 ‘우리나라는 창세신화가 없어 풍부한 상상력이 없다.’고 했지만 마고를 알고부터 든든해졌다. 마고의 정신이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에서 상식이 될 때까지 열심히 노력하자.”고 했다.

▲ 유성엽 국회의원은 국학원 주최로 17일 국회헌정기념관에서 열린 마고학술회의에서 "잃어버린 우리의 역사 문화 정신을 복원해나가길 바란다."고 했다.

유성엽 국회의원은 축사에서 “이틀 전 광복71주년 맞았는데 지금의 광복이 진정한 의미의 광복인가에 대해 마음이 무겁다.”며 “완전한 통일이 되지 못했고, 일제 지배체제로부터 벗어났지만 역사 문화 정신이 제대로 복원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유 의원은 “그런 의미에서 국학원이 가지고 있는 문제의식, 계획, 시도에 대해 동의한다. 앞으로 국학원이 정기학술회의 등 다양한 활동으로 잃어버린 우리의 역사 문화 정신을 복원해 나가길 바란다.”고 기원했다.

▲ 박찬우 국회의원은 17일 열린 국학원 마고학술회의에서 "국학원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활동해서 대한민국의 역사와 문화를 바로 세우는 역할을 해줄 것을 기대한다"고 했다.

박찬우 국회의원은 “우리는 5천년 문화국가인데 신생독립국으로서의 광복절을 기념한다.”며 “오늘 이 자리에서 다양한 연구분야가 결합되어 우리의 상고사, 고대사, 신화에 대한 연구결과가 학문적으로 축적 집대성되어 우리 반만년 역사가 복원되는 모습을 그렸다.”고 격려했다.

박 의원은 “우리가 우리 신화를 모른다. 신화는 역사의 뿌리이고 상징으로 우리의 피 속에 살아있다. 그 신화의 영향을 받아서 역사와 문화를 이뤄온 것이기에 되살리고 이를 우리 아이들에게 충분히 전달되어야 한다.”며 “국학원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활동해서 대한민국의 역사와 문화를 바로 세우는 역할을 해줄 것을 바란다.”고 했다. 

이어 2부 학술발표는 김장실 전 국회의원의 기조강연을 비롯해 정경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교수 등 네 명 학자의 주제발표로 이루어졌다.  이어서 [2편]

▲ '한민족창세신화 마고와 지구인정신'을 주제로 한 국학원 제33회 정기학술회의 참석자들.

글. 사진/  강나리 기자  heonjukk@naver.com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