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가 많은 청소년, 인터넷 게임중독 ‘빨간불’…해법은?

스트레스가 많은 청소년, 인터넷 게임중독 ‘빨간불’…해법은?

자존감을 높여주고 조절력을 키워야

스트레스가 많은 청소년은 인터넷 게임에 중독될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에 대해 두뇌에 미치는 영향과 해법도 함께 알아본다.

1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보건사회연구 최근호(4월호)에 실린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인터넷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족, 친구, 교사관계의 다중매개효과'(박병선, 박수지) 보고서에 따르면 스트레스와 인터넷 게임중독 사이의 상관계수는 0.200으로 나타나 스트레스가 심할수록 게임중독 정도도 심했다.

가족관계, 친구관계, 교사관계가 좋은 정도와 인터넷 게임중독 사이의 상관계수는 각각 -0.056, -0.073, -0.041이었다. 상관계수는 -1부터 +1 사이에 위치한다. +1에 가까울수록 상관관계가 크며, -에 가까우면 반대(음)의 상관관계가 크다. 가족, 친구, 교사와의 관계가 좋다면 게임 중독 정도가 낮은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보고서는 “청소년을 둘러싼 가족과 친구, 교사와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도와 게임 중독 문제를 해결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장시간 게임, 두뇌에 악영향

그렇다면 장시간 게임은 아이들의 뇌 발달에 어떠한 영향이 있을까?

대표적으로 인터넷 게임중독자의 뇌가 마약 중독자와 유사하다. 양 중독자의 뇌를 양전자단층촬영(PET)으로 검사한 결과 전두엽 등 뇌의 같은 부위가 활성화된다. 전문가들은 인터넷 게임을 하면 쾌락중추가 활성화되고 도파민 호르몬 분비가 활성화돼 전두엽을 자극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아이의 두뇌발달과 언어지능에 부정적이다. 일본 도호쿠대 가와시마 류타 교수와 다케우치 히카루 부교수가 이끈 연구진이 5세에서 18세까지(평균 11세) 건강한 어린이를 대상으로 지능검사와 자기공명영상(MRI) 촬영을 3년의 기간을 두고 진행했다. 이후 240명의 뇌 영상 데이터, 283명의 행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게임을 하는 평균시간이 3년 후 검사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봤다. 그 결과, 장기간 게임을 하는 습관은 언어지능 저하로 연결됐다. 언어지능 외에도 동작성 지능, 두뇌 전체 지능에도 영향을 미쳤다.

자존감을 높여줘야

앞서 긍정적인 대인관계가 청소년 게임 중독을 낮춘다고 했지만, 이미 자녀와 부정적인 관계로 고민하는 부모가 많다. 이에 대해 오미경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학과 교수는 아이의 자존감부터 높여줘야 한다고 조언했다.

초등학교부터 경쟁에서 이긴 아이는 자존감이 유지되고 경쟁에서 밀리는 아이는 자존감 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자존감이 낮으면 쉽게 좌절하고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적이고 집중력이 낮다는 것. 이러한 아이들의 특징으로 인터넷 게임중독이 나타난다.

오 교수는 “아이가 건강하게 자라기 위해서는 영양가 있는 음식이 필요하듯이 자존감 역시 아이의 바른 인성을 위해 꼭 필요한 부분”이라며 “자신을 사랑하고 소중하게 여기는 마음을 가진 아이가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오 교수는 “외적 자존감은 부모, 교사, 또래와 같이 아이에게 중요한 타인들이 자신을 사랑하고 인정해준다고 느낄 때 생긴다. 그러나 외적 자존감은 아이가 자라면서 한계에 다다른다. 자신의 능력에 자부심을 가지면서 ‘나는 뭐든지 하면 할 수 있어’라는 느낌을 스스로 키워야 합니다. 이런 느낌이 내적인 자존감”이라고 설명했다.

전열정 비알집중력클리닉 원장은 중독은 완치가 아니라 조절을 목표로 두어야 한다고 밝혔다. 아이에게 ‘게임하지 마’ 라고 말하는 순간, 아이 뇌 속에는 게임이 떠오른다는 것. 한번 중독되면 뇌에 이미 회로가 형성됐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절력이 중요하다.

전 원장은 “인간 뇌의 전두엽은 충동을 조절하는데 20대가 되어서야 완전히 발달한다. 청소년기에 게임중독이 된 아이들은 전전두엽 발달이 더욱 늦어지게 된다. 뇌파치료, 인지치료, 두뇌 체조, 명상 등으로 전두엽을 활성화해 조절능력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글. 윤한주 기자 kaebin@lycos.co.kr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