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운 날씨 따뜻한 실내에 머무르는 시간이 증가하고 운동시간이 줄어들면서 뇌동맥류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최근 6년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뇌동맥류질환이나 뇌출혈질환 등 이른바 '뇌혈관질환' 환자가 연평균 7.4%씩 높은 증가율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뇌동맥류와 뇌출혈 등 뇌혈관질환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007년 8만 3,000명에서 지난해 11만 8,000명으로 1.4배 증가했다. 특히 뇌동맥류 환자는 2007년 1만 2,446명에서 지난해 3만 9,603명으로 3.2배 증가했다. 계절별로는 6년 평균 겨울철(12∼2월) 환자가 5만 8,738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가을(9∼11월) 5만 3,462명, 여름(6∼8월) 5만 2,542명, 봄(3∼5월) 5만 2,522명 등의 순이었다.
연령대별 진료환자 구성비율은 50대가 27.2%를 차지하여 다른 연령층에 비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60대 25.6%, 70대 22.0%, 40대 12.0% 순(順)으로 나타났다.
뇌동맥류질환과 뇌출혈은 대개 고혈압, 당뇨, 흡연, 고지혈증, 음주, 심혈관질환등에 의해 발생하게 되며, 고혈압성 출혈은 뇌실질내에 주로 발생한다. 뇌지주막하출혈은 뇌동맥류 파열이 주된 원인이 된다. 그 외에 종양이나 혈관기형 등이 출혈을 일으키며, 항혈전제 등의 투여로 나타나기도 한다.
▲ 고혈압성 뇌출혈 (국민건강보험 제공)
뇌동맥류는 뇌의 혈관벽이 약해지면서 마치 꽈리모양으로 부풀어 올라 생기는 것으로 주로 혈관이 나누어지는 부분에서 발생한다. 뇌동맥류는 대부분이 아주 작은 뇌혈관보다는 약간 굵은 뇌혈관에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뇌혈관은 뇌실질안으로 들어가기 전에 뇌를 둘러싸는 지주막아래에서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반면 뇌출혈은 뇌실질내에서 작은 혈관의 출혈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 뇌동맥류파열.(좌)출혈부위 CT 사진 (우) 뇌동맥류 촬영 사진(국민건강보험 제공)
뇌출혈의 증상으로는 첫째, 고혈압성 뇌출혈은 대개 의식장애, 반신마비, 언어장애 등으로 나타나게 된다. 둘째, 뇌동맥류의 파열 등으로 나타나는 뇌지주막하출혈(또는 거미막하 출혈)로 심한 두통 및 의식저하 등의 증상을 보이게 된다. 셋째, 종양이나 혈관 기형, 약물 등에 의해 나타나는 뇌출혈로 이때는 병변의 위치 등에 의해 다른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양국희 건보공단 일산병원 신경외과 전문의는 "실제 뇌출혈은 고혈압, 당뇨, 흡연, 고지혈증, 음주, 심장병 등이 원인이 되므로 나이가 많을수록 발생빈도가 증가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기존에 알려진 바로는 고령의 남성이 뇌출혈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뇌지주막하출혈의 경우 40~50대 고혈압이 있는 여성에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말했다.
뇌출혈은 한번 발생하면 많은 경우에서 후유증을 남기므로 예방이 중요하다. 이에 원인이 될 수 있는 고혈압, 당뇨, 흡연, 고지혈증, 음주, 심혈관질환등의 위험인자에 대한 관리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글. 전은애 기자 hspmaker@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