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포진 마약성 진통제 필요할 정도로 극심한 통증에 시달려

대상포진 마약성 진통제 필요할 정도로 극심한 통증에 시달려

대상포진 환자 10명 가운데 6명은 마약성 진통제를 처방받아야 할 정도로 극심한 통증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국내 대상포진 환자는 지난 2008~2012년 사이에만 약 40% 가량 늘었을 정도로 급증하고 있다.

대한피부과학회가 지난해 전국 20개 대학병원을 찾은 대상포진 환자 1만 9,884명을 조사한 결과, 절반이 넘는 56.7%(1만 1,270명)가 마약성 진통제 처방을 필요로 했다. 이중 6.9%(1,368명) 환자는 대상포진의 통증과 합병증으로 입원 치료를 받아야 할 만큼 상태가 심각했다.

대상포진은 2~10세 아이들에게 수두를 일으키는 바리셀라 조스터 바이스러가 원인이 된다. 어릴 때 수두를 앓고 나면 이 바이러스는 신경세포에 잠복하게 되지만 면역력이 떨어지게 되면 활동을 재개한다. 바이러스가 신경 주변으로 퍼지면서 대상포진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증상은 붉은 물집들이 군집을 이뤄 띠 모양으로 나타나며 부위에 타는 듯한 통증을 보이는게 특징이다. 죽음보다 더한 통증으로 일컬을 정도로 고통이 심하다.

붉은 물집들이 옹기종기 군집을 이뤄 띠 모양으로 나타나며, 그 부위에 타는 듯한 통증을 보이는 게 특징이다. 대상포진 환자들은 후유증에도 취약하다. 조사 응답자 35.4%가 치료 후에도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대상포진 환자는 2008~2012년 사이에만 약 40%가 늘었을 정도로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가장 흔한 후유증 증상으로는 90.9%가 ‘통증’이라고 답했다. 통증을 겪은 환자들은 대상포진 치료 3개월 후에도 치료약을 복용해야 할 정도였다. 통증의 정도는 매우 심각한 통증 38.3%, 최악의 고통 2.7% 등으로 나뉘었다.

이밖에 대상포진의 후유증으로는 △ 각결막염 등 안구손상 5.6%(392명) △ 청각이상 및 어지럼증 1.7%(118명) △ 대소변이상 1.2%(84명) △ 안면마비 0.6%(45명) 등이 있었다. 또한, 대상포진 환자의 9-34%에서 피부발진이 치유된 후에도 지속적인 통증이 남아 대상포진 후 신경통증으로 이행하게 되고 통증과 함께 감각이상, 우울증, 불면증 및 식욕부진 때문에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없게 된다.

대한피부과학회 계영철 이사장은 "대상포진은 피부과 입원 환자 중 20% 이상을 차지하는 정도로 발병 빈도가 높지만 초기 증상 발생 때 대수롭지 않게 여겨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면서 "그대로 놔둘 경우 치명적 통증과 신경통 등의 후유증을 동반하는 만큼 초기에 전문적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글. 전은애 기자 hspmaker@gmail.com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