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아동폭력이 늘어나는 추세다. 어릴 때 맞고 자란 아이들 어른이 되서는 어떻게 될까. 어릴 때 상처받은 아이들이 커서 우울증에 걸린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처음으로 규명됐다.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이동수·전홍진(정신건강의학과)·강은숙(진단검사의학과) 교수팀은 미국 하버드의대 MGH병원 미셜런 교수팀과 공동연구한 결과 정상인과 달리 트라우마(Trauma: 정신적 충격)를 경험한 사람은 뇌신경 손상을 치료해 주는 뇌유래신경영양인자(BDNF)의 세포 내 이용에 문제가 있었다고 4일 밝혔다.
BDNF는 뇌에서 만들어지는 단백질로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 양쪽의 신경세포에 작용하며 우울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교수팀은 우울증 환자는 BDNF의 혈중농도가 낮다는 점에 주목해, 우울증 환자 105명과 정상인 50명을 대상으로 BDNF의 혈중농도를 검사한 뒤 트라우마와의 상관관계를 연구했다. 그 결과 트라우마를 가진 사람들에게서 BDNF가 인체 내에서 정상적으로 대사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트라우마가 깊은 사람은 혈소판에서 BDNF 수치가 정상인보다 높았던 반면 우울증과 관련 깊은 스트레스 상황을 맞닥뜨렸을 때 오히려 BDNF의 혈중농도가 낮은 것으로 측정됐다고 교수팀은 설명했다.
현재 의료계에서는 혈중 BDNF의 혈중농도가 크게 떨어져 있는 경우 우울증에 걸릴 위험이 높고 치료도 어려운 것으로 본다. 즉, BDNF 농도 변화가 왜 발생하는지를 알면 그에 따른 맞춤형 치료로 개발할 수도 있다는 의미다.
전홍진 교수는 "어릴 적 트라우마를 겪은 환자는 우울증 치료가 어려웠지만 난치성 우울증의 원인이 BDNF의 세포 내 이용에 문제가 있다는 점을 밝혀냄으로써 향후 치료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정신의학연구지(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Impact Factor 3.827) 최근호에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