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침' 파킨슨병 치료에 효과 밝혀져

배현수 경희대 한의대 교수팀, 꿀벌의 침에서 분리한 봉독이 면역조절

벌침의 독이 파킨슨병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배현수 경희대 한의대 교수팀은 31일 류머티즘관절염 등 다양한 염증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봉독이 파킨슨병에도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퇴행성 뇌질환의 일종인 파킨슨병은 60세 이상의 노년층의 약 1%가 앓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뇌의 흑질에 분포된 도파민성 신경세포가 점차 소실되어 △떨림 △경직 △운동느림(완만) △자세 불안정 등이 나타난다.

배현수 교수 연구팀은 파킨슨병이 뇌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면역체계가 교란되면 발생한다는 가설을 세우고, 면역을 조절하여 파킨슨병을 치료하는 약물을 찾고자 시도하였다. 특히 면역세포 중에서 조절T세포가 파킨슨병의 발생과 악화를 감소시킨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연구팀은 조절T세포를 증강하면 뇌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연구진은 200종이 넘는 한약 물질을 일일이 조사한 결과 꿀벌의 침에서 분리한 봉독(蜂毒)이 조절T세포의 기능을 끌어올릴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파킨슨병에 걸린 생쥐에게 봉독을 주사했더니 도파민 신경세포의 사멸이 눈에 띄게 줄면서 치료되는 것을 확인했다.

배현수 교수는 "한의학에서 오랫동안 안전하게 사용되어온 봉독이 뇌질환을 면역조절로 치유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 더욱 의미가 크다. 앞으로 봉독의 어떠한 성분이 면역조절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지를 밝혀낸다면, 더욱 효능이 뛰어난 파킨슨병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연구의의를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면역학 분야 학술지인 ‘뇌, 행동, 면역학(Brain, Behavior, and Immunity)’지 11월호에 게재되었다.

전은경 기자/ hspmaker@gmail.com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