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머리부터 발끝까지 당신의 건강을 해치는 ‘밀가루 똥배’

[칼럼] 머리부터 발끝까지 당신의 건강을 해치는 ‘밀가루 똥배’

[책 읽는 명상 CEO의 북칼럼] - 61번째 칼럼

많이 먹어도 살이 찌지 않아서 스트레스인 사람이 있지만, 숨만 쉬어도 살이 찐다고 투덜거리는 사람도 꽤 많은 것 같다. 요즘엔 성인 비만뿐만 아니라 아동 비만도 심각해지고 있고, 가까운 주위에 다이어트나 운동으로 뱃살 고민의 해법을 찾으려는 사람들이 날로 늘고 있다.

그 이유를 생각해보면 일상생활이나 운동을 통해 소비하는 칼로리보다 섭취하는 칼로리가 많다 보니 초과된 칼로리가 몸 안의 지방으로 쌓이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누구라도 알고 있는 상식이지만 현실에서는 여기저기 맛있는 먹을거리와 마실 거리가 너무 많아서 칼로리 초과의 유혹을 이겨내기가 쉽지 않다. 그러니 학생 시절이나 처녀 총각 시절에는 날씬한 몸매를 유지했으나 세월이 흐르면서 날로 불룩해지는 똥배를 바라보며 고민하는 사람이 많은 것도 당연하다.

▲ 《밀가루 똥배》에코리브르.

나 역시 마찬가지였다. 필자의 키는 178센티를 약간 넘는다. 고등학교 2학년까지 자란 키였는데 키가 다 자라고 대학 졸업 때까지 몸무게는 보통 62킬로그램, 많이 나가도 65킬로그램을 넘지 않았다. 당시에는 말랐다는 느낌이 별로 없었는데 1980년대 고등학교와 대학교를 다니던 시절에는 비만인 친구들이 많지 않았기에 그랬던 것 같다. 그런데 사회생활을 시작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10킬로그램 이상 불어서 75킬로그램이 되었다. 이후 밀레니엄이 시작되던 2000년 1월 1일부로 19년 동안 피우던 담배를 끊고 나서는 1년도 지나지 않아서 85킬로그램까지 살이 불었다. 담배를 끊고 그전까지는 별로 하지 않았던 주전부리를 시작하게 되었는데 한 달에 1킬로그램씩 살이 찌더니 2000년대 중반 생애 최고의 몸무게를 기록했던 때에는 91킬로그램까지 쪘다. 이때부터 필자의 지난한 다이어트 도전기가 수차례 반복되었다.

굵직한 경험만 몇 가지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90킬로그램이 넘어가면서 충격을 받은 필자가 함께 근무하는 직원들 앞에서 다이어트를 공언하고, ‘반식 다이어트’를 시작하였다. 반식 다이어트는 삼시 세끼 무조건 반만 먹는 것인데 4개월 동안 하늘이 샛노래지는 경험까지 하면서 16킬로그램 감량에 성공하였다. 그러나 체중 유지에 실패하면서 요요 현상을 겪었고, 재작년에는 4개월 동안 1일 1식을 하면서 8킬로그램을 줄였다. 그것 역시 정상 식사를 재개하면서 예닐곱 달에 걸쳐 원상태로 돌아왔다. 그러다가 발견한 책이 지금 소개하는 《밀가루 똥배》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필자는 이제 밀가루 음식을 먹지 않는다. 라면이나 칼국수, 짜장, 짬뽕 등 면류와 빵을 아주 좋아하고, 또 자주 먹던 필자 입장에서는 정말 어려운 결단이었다. 그러나 밀가루를 끊고 5개월이 채 되지 않았는데 체중이 8킬로그램 이상 줄어서 75킬로그램 대를 유지하고 있다. 이번에는 예전과 확실히 다른 느낌이라면 8킬로그램을 감량한 이후 벌써 두 달여 지났는데 체중이 계속 유지되고 있다는 점이다.

《밀가루 똥배》는 미국의 심장병예방학 윌리엄 데이비스라는 의사의 책이다. 저자의 전공과는 생뚱맞은 감이 있지만 책을 읽다 보면 밀가루를 끊고 비만이나 고질병이 기적같이 치유된 다양한 사례들을 접하게 된다. 저자의 주장 중 지금 우리가 먹고 있는 밀은 유전자 조작으로 20세기 중반 이전 윗세대들이 먹던 밀과는 전혀 다르다는 것이다. 예전 밀의 유전자수는 14개였는데 현재는 42개로 그 중 일부는 인체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채 밝혀지지도 않았다고 한다. 그리고 미국인의 비만이 획기적으로 증가한 시기 역시 유전자 조작 밀의 소비가 급증한 시기와 일치한다는 것이다.

이 책은 현직 의사가 쓴 것이지만 별로 어렵지 않다. 이 책에서 “자연으로 돌아가라”는 프랑스의 철학자 루소의 말처럼 사회운동가의 주장 같은 느낌을 받았다. 최근 몇 달 동안 필자가 밀가루 끊기 전도사가 된 듯 뱃살로 고민하는 주위 사람들에게 밀가루 끊기에 도전하라는 충고를 하고 있는데 독자들에게도 강력히 권하고 싶다.




글. 우종무 (주)HSP컨설팅 유답 대표
www.u-dap.com 
http://facebook.com/bellrock96 

* 외부 필진 칼럼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