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궐과 능 석조물 문양의 의미는?

궁궐과 능 석조물 문양의 의미는?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우리나라 전통 무늬 7궁능석조물' 펴내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강순형)는 2006년부터 진행한 우리나라 전통 문양 조사 사업의 일곱 번째 보고서인 '우리나라 전통 무늬 7 궁능석조물'을 발간했다.     

 석조물 문양은 건축물의 일부분이지만, 독립된 조형물로서 우리 전통 문화예술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 왔다. 특히, 궁궐과 왕릉에서는 그 권위에 걸맞은 수준 높은 작품들이 만들어졌다. 다양한 조형 방식으로 장식된 문양에는 왕실의 안녕과 국가의 번영을 기원하는 상징이 담겨 있다. 이들 문양은 원형이 잘 보존되어 제작과 관련된 문헌 기록도 전해져, 전통 문양 연구에 매우 유용한 자료이다.

▲ 보고서 표지.

이번 보고서는 4대 궁(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과 조선 왕릉의 대표적인 석조물 문양 146건을 대상으로  상징적인 의미와 조형적인 특징을 함께 보여줄 수 있도록 하였다. 문양이 갖는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해설과 더불어 정교한 삽화(일러스트) 작업을 통하여 장식의 아름다움을 명확하게 드러내고 현대적인 디자인 소재로도 활용할 수 있게 만들었다.

이 문양은 식물, 동물, 자연산수, 기물, 문자, 기하, 인물 등 7개의 주제로 분류하였으며, 같은 소재의 문양이라도 시기에 따른 변화 과정과 그 특징을 비교하며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이 보고서를 통해 궁궐과 왕릉의 석조 문양에 관한 학술연구가 활발해지는 한편, 우리 전통 문양이 다양한 분야에서 문화 콘텐츠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덕수궁 중화전 답도의 용 문양.

국립문화재연구소는 그동안 발간한 7권(2006~2014년)의 조사성과를 바탕으로 앞으로는 연구 대상을 유라시아 등 국외로까지 확장하여, 우리 전통 문양의 기원과 전래 경로, 양식적 변화 등을 폭넓게 연구하고 주제별로 그 의미와 조형 방식 등을 정리해 나갈 예정이다.

이번  보고서는 판매용(정가 70,000원/416쪽/그라픽네트 출판)으로 제작되었으며, 궁능석조물 문양 삽화는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http://portal.nricp.go.kr)을 통해 무료로 제공된다.


글. 정유철 기자 npns@naver.com   사진.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