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청소년멘탈헬스심포지엄] 뇌를 기분좋게 하면 공부가 잘된다

[2014 청소년멘탈헬스심포지엄] 뇌를 기분좋게 하면 공부가 잘된다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오미경 교수 뇌교육 정서조절의 원리 발표

"청소년기에 과다한 경쟁으로 뇌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정서적으로 상당히 불안해지고 감정 조절이 어렵습니다. 아이들의 정서 조절을 위해서는 뇌과학의 원리에 따라 뇌파와 호르몬을 조절해야 합니다. 뇌파와 호르몬의 조절은 신체와 정서, 인지가 함께 상호작용합니다. 간단히 말하면, 몸이 건강하면 기분이 좋고 기분이 좋으면 공부가 잘되는 원리입니다” 

▲ 청소년 인성교육의 대안을 모색하는 '2014 청소년 멘탈헬스 심포지엄'에는 학교장, 교사, 학부모 등 교육관계자 400여 명이 참석했다.(사진=전은애 기자)

지난 16일 울산 근로자복지회관에서 있었던 ‘2014 청소년 멘탈헬스 심포지엄’에서 오미경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학과 교수는 ‘뇌교육이 정서조절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오 교수는 뇌교육 정서 조절의 원리를 신체, 정서, 인지 세 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오 교수는 뇌교육 정서조절의 첫 번째 원리로 몸을 움직이면 신체가 활성화되어 정서가 안정된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뇌교육의 HSP 짐(Gym)과 같은 동작은 잡념을 없애고 우뇌를 활성화한다. 잡념이 끊어지면 뇌파가 안정되고 베타엔돌핀, 도파민, 세로토닌과 같은 긍정 호르몬이 나온다. 불안한 뇌파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활기찬 몸이 첫 번째다”라고 말했다.

그리고 정서적인 두뇌를 활성화하는 방법으로 밝고 따듯한 학급 환경 조성을 강조했다. 특히 뇌교육의 ‘사랑주기’, ‘사랑합니다 인사’, ‘실수 OK’ 같은 말과 행동은 밝고 따듯한 학급 분위기를 만들어 아이들의 뇌를 이완시키고 정서적인 안정감을 갖게 한다.

또한, 오 교수는 “뇌교육의 명상은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메타인지’를 계발하고 순수한 마음, 양심을 발현시킨다”라고 말했다. 즉, 명상으로 정서가 순화되고 자기 성찰력이 향상된다고 했다. 특히 오 교수는 양심을 ‘선조들로부터 내려온 옳고 그름에 대한 집단 무의식’이라고 정의하고, ‘양심의 발현은 인성교육의 기본’임을 강조했다. 

▲ 오미경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학과 교수(사진=김보숙 기자)

마지막으로 뇌교육의 푸쉬업(Push Up), HSP 짐과 같은 동작은 아이들의 ‘인지 두뇌’를 활성화하여, 스트레스에 직면했을 때 이를 긍정적으로 해석하게 되고 ‘나는 이겨낼 수 있다’는 본질적인 자신감을 갖게 된다고 말했다.

오 교수는 더 나아가 “이기적이고 경쟁적인 목적이 아닌 나와 민족과 인류를 위한 꿈을 선택할 때, 아이들은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이 명확해지고 정서적으로 흔들리지 않는다. 크고 가치있는 꿈은 뇌를 더 적극적으로 움직이게 한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2014 청소년 멘탈헬스 심포지엄'은 학교장, 교사, 학부모 등 교육관계자 4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되었다. 이번 심포지엄은 교육부가 후원하고 국제뇌교육협회,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글로벌사이버대학교, 청소년멘탈헬스인성교육협회가 주최하며 각 지역뇌교육협회가 주관했다.

앞서 1부에서는 글로벌사이버대학교 하태민 교수가 ‘글로벌 트렌드-21세기 뇌융합교육, 왜 뇌교육인가’라는 주제로 국내와 해외에서 뇌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큰 성과를 거둔 사례를 소개하였다. 2부에서는 학계 교수 및 뇌교육 전문강사들이 나와 뇌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결과 및 현장 적용사례를 발표했다.

글, 사진 김보숙 기자
bbosook70@hannmail.net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