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인 북스] 사회정서학습, 이렇게 한다

[브레인 북스] 사회정서학습, 이렇게 한다

마음과 뇌를 이어주는 수업 전략


교육에서 반드시 바탕에 두어야 할 중요한 두 가지가 있다. 

바로 사회정서학습(SEL)과 트라우마 이해기반 접근이다. 많은 학생들이 아동기 부정적 경험으로 인한 상처를 지니고 학교에 온다. 사회정서학습은 이들의 상처를 완화하고 회복할 힘을 주며, 교실과 수업에 긍정적인 경험을 주는 강력한 도구다. 

사회정서학습에 활용되는 여러 전략들은 트라우마 이해기반 접근과 맞닿아 있어 두 가지를 함께 실행하면 그 효과가 더욱 커질 수 있다.

코로나19 위기 이후, 불안정한 교육 생태계 속에서 길을 잃은 아이들이 늘고 있다. 사회정서학습이 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여전히 현장에서는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다는 목소리가 많다. 

어떤 방법이 효과적인지, 복잡한 교실 환경에서 어떻게 해야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지 교사들의 고민이 깊다. 마릴리 스프렌거는 오랜 교사 경력과 연구 경험으로 아이들에게 바로 가 닿는 효과적인 방법, 한정된 수업 시간을 알차게 활용하면서도 학생 한 명 한 명의 마음을 돌볼 수 있는 전략들을 풍부한 사례와 함께 풀어냈다.

모든 아이는 저마다의 이야기를 갖고 있고, 교사는 그 이야기를 들여다보며 아이들이 미래를 향해 지혜롭고 올바른 선택을 해나갈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위해 따뜻한 관계를 맺는 힘,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감수성, 자신의 감정을 알아차리고 다스리는 자기관리, 타인과 협력하는 사회적 인식과 관계기술이 필수적이다. 이 책은 바로 이러한 역량을 기르는 사회정서학습을, 뇌과학과 학습과학의 성과에 근거해 풀어낸다.

저자는 뇌의 작동 원리를 토대로 ‘왜 그런 현상이 일어나는가’를 설명하고, 교실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 실천법을 제시한다. 학습과학에 기반해 설계된 사회정서학습은 추상적인 구호가 아니라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교육의 언어가 된다. 이 책은 지금 교실에 필요한 회복과 관계, 공감과 실천의 언어를 전한다.
 

학습과학과 사회정서학습이 만나다
수업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사회정서학습 방법론

사회정서학습은 학생이 자신과 타인, 사회적 관계를 이해하고 관리하는 능력을 기르는 교육 접근법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교실은 학습보다 마음의 회복을 먼저 이야기하게 되었다. 급격한 변화와 불안의 시대를 지나며, 사회정서학습의 필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커졌다. 그러나 사회정서학습은 몇 차례의 수업으로 끝나지 않는다. 그것은 일상과 수업, 관계 전반에 스며드는 태도이자 사고의 틀이다.

이 책은 뇌과학 원리를 통해 아이들의 마음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살펴보며, 교실 속에서 사회정서학습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안내한다. 25년 이상 교육 현장을 경험한 저자의 내공이 녹아 있는 실천 지침서로, 교사들이 현실의 제약 속에서도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과 활동 사례를 담고 있다. 단순한 이론서가 아니라, 현장의 시간과 에너지를 고려한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안내서이다.

미국의 ‘학업 및 사회정서학습 협의회’(CASEL)는 사회정서학습의 핵심 역량으로 ‘자기인식’, ‘자기관리’, ‘사회적 인식’, ‘관계 기술’, ‘책임 있는 의사결정’을 제시한다. 

이 책은 이 다섯 가지 역량을 각각 풍부한 예시와 함께 다루면서, 그에 선행되어야 할 ‘관계 구축’과 ‘공감’을 별도 장으로 구성하였다. 더불어 사회정서학습이 지속되고 온전히 스며들게끔, 그 어떤 교육 프로그램보다 중요한 교사들의 자기 케어, 스트레스 관리, 동료 간의 건강한 소통을 강조한다.

사회정서학습은 단순히 ‘가르치는’ 것이 아니다.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한다고 해서, 또는 매주 금요일마다 30분씩 사회정서학습 수업을 한다고 해서 끝나지 않는다. 사회정서학습은 모든 교직원과 교사, 학생들 사이에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일과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야 한다.

사람을 변화시키는 것은 프로그램이 아니라 사람이다. 변화의 주체는 이 글을 읽는 당신과 나, 그리고 우리다. 


글. 우정남 기자 insight1592@gmail.com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