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19~34세 청년 2명 중 1명은 부모님과 함께 살고 있다. 한국만 그런 것이 아니라 이는 전 세계적인 현상이다. 만 18세가 되면 자녀를 독립시키는 것을 미덕으로 여겼던 미국도 우리나라와 비슷한 상황이다.
미국의 경우, 18~29세 중 절반 혹은 전부가 부모와 함께 살고 있다고 한다. 대학 후 공부를 더 하거나, 취업을 준비하는 기간이 길어지거나, 학자금 대출과 주택 비용 상승 등으로 경제적으로 안정되기까지 걸리는 시간도 부모 세대에 비해 더 길어졌다. 미국의 부모 세대 평균, 개인이 대학을 졸업하고 가정을 꾸리기까지 평균 8년이 걸렸다면, 오늘날 젊은이들은 그보다 50% 이상의 기간이 걸린다고 한다.
자연스레 ‘독립’은 너무 먼 이야기가 되어버렸다. 자녀가 성인이 되어 대학만 가면 내 할 일은 다 끝났다고 해방감을 느꼈던 과거의 부모들과 달리 오늘날 성인 자녀를 둔 부모는 더 오래 자녀를 지원해주어야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이는 비단 경제적 지원만을 뜻하는 게 아니다.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20대와 30대를 보내고 있는 자녀의 심리를 세심하게 살피고 든든한 정서적 지지자가 되어주어야 한다.
템플 대학교 심리학 및 신경과학 교수로서, 50년 가까이 청소년의 심리발달을 연구하고 부모 지침서를 집필해온 로렌스 스타인버그는, 점차 청소년에서 성인이 되는 기간이 길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사춘기의 끝이 19세가 아니며, 성인이 되는 시기는 이제 20세에서, 25세로 지연되었다고 말한다.
그에 따라 자녀가 성인이 되기까지 부모가 심리적 정서적 지원을 해주어야 하는 기간도 최소 5년 이상 지연되었다. 이는 인류사에서 처음 겪는 일이다. 지금껏 인류는 이런 시대를 살아본 적이 없고, 따라서 그와 관련된 지침도 없다. 이렇듯 시대가 변했고 과거와는 비교할 데이터도 없는 상황에서, 부모는 과연 어떤 역할을 해야 할까?
당신과 자녀를 절대 비교하지 마라
20년 전과 지금의 사회는 완전히 달라졌다
대부분의 부모는 자녀가 대학만 가도 육아에서 해방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이제 부모로서 할 일을 다 했으니, 성인이 된 자녀가 알아서 스스로 인생을 잘 살아가기만 바란다. 하지만 실제로 생각해보면 과거에도 부모는 늘 자녀의 생애 과정을 함께했다. 취업, 결혼, 출산, 승진, 이사 등등 그 과정에서 부모가 도움을 주어야 할 때도 있고 조언을 해주어야 할 때도 있다.
그런데 의학 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수명이 연장되고 있고, '120세 시대'가 실현 가능해진 시대다. 자녀 곁에서 살아가는 시간은 더 길어진다는 뜻이다. 부모와 자녀의 관계 또한 초장기 관계로 접어들게 되었다. 20~30년간의 양육 이후, 성인이 된 자녀와 어떻게 편안한 관계를 맺을 것인가 또한 화두가 된 것이다. 자녀가 살아가면서 상황과 삶의 방식이 바뀌는 동안 부모도 함께 바뀌어야 한다.
"'나 때는' 이렇게 했으니 너도 이렇게 해봐라'는 식의 조언은 위험하고 소용도 없고 갈등만 조장한다. 부모의 역할과 육아는 끝이 없다. 이 말이 절망적으로 들릴 수도 있다. 하지만 자녀의 상황이 계속해서 바뀌며 성장하는 것처럼 부모의 역할도 함께 성장하고 노력하지 않으면 자녀와의 관계는 멀어질 수밖에 없다.
이 책을 번역한 김경일 교수는, 자녀는 이제 '100년 동반자'라고 비유하며, 미국이든 한국이든, 지금 성인 자녀 혹은 사춘기 자녀를 두고 있는 부모 세대는 지금껏 이런 세대를 살아본 적이 없고, 그래서 앞으로 오랜 기간 성인이 된 자녀와 어떻게 잘 지내야 하는지 선대의 지혜와 가르침을 얻을 곳이 없다고 말한다. 100살 넘게 사는 인생에서 청년을 넘어 이제 중년까지 바라보는 자녀를 어떻게 돕고 얼마의 거리를 유지해야 적정한가에 대한 정보는 거의 없다.
이 힘든 시기를 헤쳐나가기 위해 저자는 매우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대학 진학, 연애, 결혼, 취업, 사업, 결혼, 출산, 돈 문제 등 앞으로 성인 자녀와 겪게 될 상황을 예상하고 주제를 나누어 어떤 식으로 생각하고 대화해야 하는지까지, 흥미로운 사례를 들어 이해하기 쉽게 이야기해준다.
글. 우정남 기자 insight1592@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