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가장 내성이 강한 폐렴구균이 국내 최초로 발견됐다. 이러한 폐렴구균은 해외에서도 아직 보고된 사례가 없다. 특히 이러한 폐렴구균은 요양기관 등에 머물고 있는 노인에게서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환자 치료 및 내성균 확산을 막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 강철인 교수팀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을 미국질병관리본부(CDC) 학술지를 통해 발표했다고 8일 밝혔다.
강철인 교수팀에 따르면, 지난 2011~2012년 사이 폐렴구균 보유 환자 510명 중 5명이 기존 치료법에 쓰이던 항생제 8종(페니실린, 세파로스포린, 매크로라이드, 퀴놀론, 클린다마이신, 테트라사이클린, 트리메소프림-설파메톡사졸, 카바페넴)에 전혀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이들 5명은 일반적으로 폐렴구균 환자에게서 잘 쓰이지 않는 반코이신이나 리네졸리드 계열 약물 등 2가지 종류의 항생제에만 미약한 반응이 있는 정도다. 이른바 ‘광범위 항생제 내성 폐렴구균(이하 광범위 내성균, 학명: Extensively Drug-Resistant Streptococcus pneumoniae)’으로 불리는 균을 보유하고 있었던 것이다.
환자들 평균 나이는 71.8세로, 뇌혈관 질환과 같은 신경계 질환이나 운동장애 등을 앓고 있었다. 3명은 요양기관에서, 2명은 다른 병원에서 각자 석 달여간 항생제를 포함한 치료를 받다 상태가 심각해지자 삼성서울병원으로 전원됐다. 모두 건강 상태가 나쁜 노인이고, 장기간 항생제 치료를 받으며 내성균에 노출될 위험을 키웠다는 공통점을 보였다.
특별한 이름 없이 학명으로만 알려진 이 균주는 지금까지 위험하다고 알려진 ‘다제 내성균’보다 항생제가 듣지 않는 범위가 넓고 치명적이다. 다제 내성균은 3가지 정도의 항생제에 내성 반응을 보이지만, 이번에는 2개를 뺀 나머지 모두가 반응이 없었다.
삼성서울병원 강철인 교수는 “광범위 내성균으로 인한 환자들의 피해를 줄이려면 성인에게도 폐렴구균 백신을 접종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장려해야 한다”며 “사회 전체로 확산되지 않도록 항생제 사용을 신중히 하고, 내성균 발현을 관리∙감독하는 시스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글. 이효선 기자 sunnim0304@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