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영유아 등 어린 아이들이 많이 걸리는 '수족구병' 발병율이 최근 증가하고 있어 보건당국이 각별히 주의를 당부했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달 19일부터 25일까지 전국 395개소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수족구병 표본 감시결과, 최근 수족구병 의사환자수가 10.8명으로, 이는 작년 같은 기간 4.8명에 비해 높은 수치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5일 발표했다.
특히 만 5세 이하의 영유아가 92.1%에 해당되어(만 2세 이하 60.1%) 유치원, 어린이집 등 공공시설에서는 손씻기를 비롯한 환경위생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수족구병의 경우 대부분의 환자는 증상 발생 후 7~10일 이후 자연적으로 회복하는 질병으로, 어른과 아이 모두 손을 자주 씻고, 아이들의 손이 자주 닿는 장남감 등을 깨끗하게 관리하는 등의 개인위생을 철저히 준수하면 감염 예방이 가능하다.
그러나 일부에서 뇌염, 무균성 뇌수막염 등 신경계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어 만일 수족구병이 감염된 영유아가 수일 내에 사지위약(팔·다리가 가늘어지고 늘어지면서 힘이 없는 증상) 등 급성 이완성 마비증상을 보이는 경우 조속히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전문적인 진료를 받아야 한다.
질병관리본부는 수족구병 예방홍보수칙이 담긴 홍보물 180,000부(포스터 8만부, 리플렛 10만부)를 지자체에 배포하여 관내 수족구병 예방 관리에 철저를 기할 것을 당부하며, 국민들에게 아래와 같이 수족구병 예방수칙을 제시하고 지켜줄 것을 강조하였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수족구병이 의심될 경우 신속하게 의료기관 진료를 받아야 한다"며 "확산 방지를 위해 어린이집 등에 보내지 말고 전염기간인 발병 후 1주일동안 집에서 격리 치료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글. 전은애 기자 hspmaker@gmail.com
.jpg&filepath=Brain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