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7명은 민간요법을 경험해 본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리 국민은 민간요법에 연간 8조 7천억 원 가량을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한의학연구원 최선미 침구경락연구그룹 박사 연구팀은 2010년 9월부터 1년 동안 우리나라 일반인 1,284명의 민간요법의 사용실태를 심층면접 조사한 결과, 한 가지 이상의 민간요법을 이용해본 경험이 있다는 응답이 953명으로 74.2%를 차지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들은 같은 기간 1,846건의 민간요법을 써 봤다고 대답했으며, 모두 3억 원이 지출됐다. 국민 전체로 환산하면 연간 8조 6,000억 원의 비용이 민간요법에 들어간 것으로 추산된다.
민간요법이란 한·양방 병의원에서 처방·권유받지 않은 모든 요법 일체를 뜻한다. 비타민이나 오메가3 등 건강보조식품에서 녹즙이나 홍삼, 각종 운동요법 등이 해당된다.
민간요법 가운데 가장 많은 것은 비타민과 오메가3 등 건강보조식품으로 전체의 21.4%(275명, 평균 38만원 지출)였다. 각종 야채즙 등을 포함하는 과일즙 식이요법이 16.8%, 홍삼과 동충하초 등 한약기반 건강보조식품이 15.3%, 핫팩 등 온도요법이 13.8%, 운동요법이 9.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부항과 침, 뜸 등을 한의사가 아닌 무자격자로부터 시술받은 비율은 각각 42.1%, 32.6%, 29.2%에 달했다. 민간요법에 대한 정보를 의료인으로부터 얻은 경우는 4.2%에 불과했다.
연구팀은 당뇨병을 진단받은 환자 535명에 대해서도 조사를 진행했는데 일반인보다 8.4% 포인트 높은 82.6%, 442명이 민간요법을 사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당뇨병 환자들의 민간요법은 한약 기반 건강보조식품 이용과 약초 등을 활용한 천연 외용제요법이 각각 21.5%, 15.2%로 1·2위를 차지했다.
글. 윤관동 기자 kaebin@lyco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