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아? 아이는 정상이다

문제아? 아이는 정상이다

생활지도의 달인, 강완모 인천해송초등학교 교사

2013년 01월 15일 (화) 13:50
조회수8037
인쇄 링크복사 작게 크게
복사되었습니다.

 

강완모 교사(59세. 인천 해송초등학교)는 교육현장에서 느끼는 문제아동에 대해 “과거에는 공부에 관심이 없거나 과제처리를 못 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요즘에는 정신질환을 동반한 경우가 많고, 폭력성 또한 심해졌다. 학급 전체에 불안감을 조성하고 생활지도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많아졌다”고 말했다.

 

대표적인 예로, ‘친구 얼굴을 가위로 긋는 것을 보고 학교가 두려웠어요(A학생)’, ‘○○와 같이 앉게 할 수 없어서 자리 배정도 힘들고 모든 활동을 같이 시킬 수가 없어요(B교사) 등 문제아동의 존재 자체가 주변에 영향을 끼쳤다고 설명했다.

 

학부모교육, 칭찬하는 법을 가르쳐라

 

강 교사는 분노를 통제하지 못해 아이들을 수시로 때리는 노진수(가명) 군을 가르친 일화를 전했다. 노군은 식탐도 심하여 매일 급식 후에는 체하였다. 그는 노군의 학부모를 만난 자리에서,  “몇 달 동안 야단을 수없이 쳐보았지만 진수는 지금까지 야단만 맞고 자라서 감각이 없다. 야단보다는 격려와 칭찬이 필요하다.”라고 조언했다.

 

진수 부모는, “선생님께서 시키시는 대로 하고 싶지만 칭찬할 일이 있어야 칭찬을 하지요.”하고 물었다. 강 교사는 부모에게 칭찬이 어렵지 않다며 자장면을 사주면서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줬다. 

 

 “진수야, 너희 선생님께서 네 칭찬을 많이 하시더라. 우리 진수가 학급의 힘든 일을 도맡아서 하고 전보다 숙제를 잘한다고 말씀하셨다. 기분이 좋은데 네가 좋아하는 자장면을 사줄까?” 그리고 자장면을 먹는 진수를 보면서 “우리 진수는 흘리지도 않고 깨끗이 먹네.”하고 칭찬을 하고 다 먹은 후에도 “진수는 배고픈 것을 참고 있었는데 참을성도 많구나.”하고 칭찬을 하고 기분이 좋아진 진수를 집으로 데리고 가서 “진수야, 아빠 기분이 좋은데 슈퍼 가서 음료수를 한 병 사오너라. 그런데 길을 조심하고 반드시 주인에게 공손하게 인사하고 오너라.” 심부름을 시킨 후 음료수를 사온 진수를 보고 “진수야, 길조심 했지?” 물어보고 대답을 하면 “진수가 조심성이 많아졌네. 잘했다.”하면서 등을 두드려주고 “슈퍼주인께 인사했지.” “예”하고 대답하면 “우리 진수는 인사를 잘하고 아빠 말을 잘 듣는구나.”하면서 등을 두드려주고 “그리고 보니까 음료수를 깨뜨리지 않고 잘 가져왔네 라고 칭찬을 하게 되면 벌써 칭찬을 몇 번 하게 되는 겁니까?”진수 부모는 “우리 진수를 지금까지 미워만 했지 칭찬을 한 적이 없었습니다. 앞으로 노력하겠습니다.”라고 했다.

 

강 교사는 21일 동안 진수 부모에게 전화해서 칭찬교육을 제대로 하는지 확인했다. 그러자 식탐이 많은 진수가 먹는 양이 줄어들고 친구와의 싸움도 줄어들었다고 말했다.

 

 

뇌교육 명상으로 아이의 상처를 치유해

 

강 교사는 어릴 적에 가정 폭력으로 부모가 고발되고 정신장애를 앓고 있는 허성호 군(가명)을 치유한 사례를 전했다. 허군은 교사에게 욕을 하고 침을 뱉고, 학교 유리창을 수시로 파손하는 등 문제 행동이 심각했다.

 

강 교사는 학교에 오지 않는 허군 아버지에게 편지를 20일간 보내서 만났다. 허군의 아버지 마음이 열리기까지 많은 시간과 정성이 필요했다. 같은 반의 아이들도 불안하고 허군을 피해 다녔기에 수시로 ‘놀이수업’을 통해 학급의 분위기를 바꾸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문제아를 문제로 보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오히려 아이는 정상이다. 그렇게 될 수밖에 없었다고 생각하고 지도에 들어가야 한다.”라고 말했다. 학부모와의 상담은 학생이 부모와 친해지기 위해서이며, 문제아동이 교사를 신뢰할 수 있도록 친밀감이 형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뇌교육 프로그램 중에 연단과 뇌파진동 명상처럼 몸을 사용하는 교육을 해야 아이들의 감정이 조절된다고 말했다.

 

실제로 성호는 성적에서 눈에 띄는 변화를 나타냈다. 국어(32점-=>56점), 수학(16점=>40점), 과학(0점=>64점) 등 평균점수(13점-=>57점)가 4배 이상 증가했다. 성호는 자신을 변화시킨 것으로 ‘밝고 즐거우며 따뜻한 반 분위기’와 ‘선생님의 특별한 프로그램’을 꼽았다.

 

글. 사진 윤관동 객원기자 kaebin@brainworld.com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