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2017년 2월 담배 판매량이 2.4억 갑으로 2016년 11월 3.1억 갑에서 3개월 연속 감소하였다고 13일 발표하였다. 전년 동월 대비 14.0% 감소한 수치로 담뱃값 인상 전인 2014년 동월 대비로는 13.4% 감소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반출량은 2월 2.3억 갑으로 전년 동월 대비 13.7% 감소하였고 2014년 동월 대비로는 17.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부는 최근 담배 판매량 감소세는 정부의 담뱃값 인상, 금연 치료 지원, 금연 캠페인 등 흡연율 감소를 위한 다각적인 정책의 결과라고 설명했다.
정부가 시행한 금연 종합 대책으로는 ▲담배가격 2,000원 인상 (2,500원 담배 기준) ▲금연지원서비스 확대 및 건강보험 병·의원 금연치료서비스 시행 ▲‘흡연은 질병, 치료는 금연’ TV 등 대중매체 캠페인 전개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담배 판매량은 2014년 43.6억 갑에서, 가격을 인상한 2015년에는 33.3억 갑으로 감소하였고 2016년에도 36.6억 갑에 그쳤다. 특히, 2016년 12월 흡연 경고그림을 전면 도입하면서 2016년 말 이후 담배 판매량 감소세가 계속되고 있다.
금연 클리닉 등록자 수도 지난해 12월 26,000여 명에서 올 1월 51,000여 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복지부는 흡연 경고 그림이 도입된 이후 반출량 감소세가 지속되고 금연 클리닉 등록자 수도 증가하고 있어, 3월 이후 담배판매량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글. 김민석 인턴 기자 arisoo9909@naver.com
사진 제공. 오픈애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