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규칙한 식사, 다이어트, 스트레스 등으로 10대 위염 환자 증가

불규칙한 식사, 다이어트, 스트레스 등으로 10대 위염 환자 증가

2012년 여성이 남성의 1.5배 … 20대 여성은 20대 남성의 2.2배

우리나라 10대 청소년들의 위염 환자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 10명 중 1명이 위염을 앓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염'은  내시경 검사에서 특이 소견은 없으나 소화불량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와 내시경 검사에서 육안적 이상소견이 관찰되고 점막의 조직검사에서 염증세포가 발견되는 경우로 의학적 정의로는 후자를 말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이 2008~2012년의 건강보험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위염'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환자가 2008년 442만6천명에서 2012년 521만2천명으로 증가하였다. 여성이 남성보다 1.5배 가량 더 많았다.

2012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은 1만494명으로 남성 8,180명, 여성 1만2,838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1.5배 가량 더 많았다.  연령별로는 70대가 1만8,410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60대가 1만6,987명, 80세 이상이 1만3,932명 순(順)이었다.  20대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은 여성이 남성보다 2.2배 많아 다른 연령보다 성별 진료인원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위염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과식을 하거나 급하게 먹는 경우 또는 특정음식을 먹었을 때 소화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음식물과 위염의 관계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진통제, 소염제, 아스피린, 스테로이드제제, 항생제 등의 약이나 헬리코박터균 감염으로 위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한 정신적 스트레스, 흡연, 음주도 위염을 일으킬 수 있다.

‘위염’의 증상으로는 전형적인 증상 없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아무런 증상이 없는 환자에서부터 소화불량, 상복부 불편감, 명치 부위 통증, 복부 팽만감, 트림, 구토, 오심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전한호 교수는 "60~70대 위염 진료인원이 많은 이유는 젊은 세대에 비해 만성위염을 일으키는 헬리코박터균 감염자가 많을 뿐 아니라, 65세 이후 경제적 빈곤, 신체적 질병, 사회적 고립의 증가도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젊은 여성이 많은 이유로는 "아침 식사를 하지 않는 불규칙한 식사 습관과 무리한 다이어트, 사회생활에서 받은 정신적 스트레스 급증으로 인해 병원을 방문하는 횟수가 증가한 것이 원인 일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 인구 10만명당 연령별 ‘위염’ 진료현황(2012년) <자료=국민건강보험공단>

2008~2012년 인구 10만명당 연평균 증가율은 3.4%로, 남성이 연평균 3.7%, 여성이 연평균 3.2% 증가하였다.  전체 연평균 증가율보다 높은 증가율을 보인 연령은 10대와 20대로 10대에서 연평균 7.3% 증가하여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20대는 연평균 4.4% 증가하였다.

10대 청소년기에 위염의 증가가 높은 이유를 전한호 교수는 "불규칙한 식습관 및 생활습관, 다이어트, 우리나라의 성적 지상주의와 대학 진학 등에 따른 학업, 입시 스트레스가 원인일 수 있다"고 말했다.

‘위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짠 음식, 탄 음식을 피하고, 지나친 음주, 흡연, 진통 소염제의 남용은 자제하며, 올바른 식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위염의 치료는 증상에 따라 적절한 약물 치료를 유지하면서 증상을 완화시키는 방법으로 쓴다.  소화불량, 속쓰림, 복부 팽만감 등의 증상에 따라 제산제, 위산 분비 억제제, 소화 효소제, 위장 운동 촉진제 등을 복용할 수 있다.

건강한 성인, 특히 장․노년층의 건강한 사람이 약 복용 후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증상만으로는 다른 위장 질환과의 구분이 어렵기 때문에 내시경 검사를 통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글. 정명빈 기자 npns@naver.com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