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청소년 멘탈헬스 심포지엄] 청소년 정신건강 문제, 뇌활용에 답이 있다

[2013 청소년 멘탈헬스 심포지엄] 청소년 정신건강 문제, 뇌활용에 답이 있다

뇌, 행복교육을 말하다 2013 청소년 멘탈헬스 심포지엄 개최

최근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청소년들의 학교폭력, 왕따 등 정신건강 문제를 인간 뇌의 올바른 활용과 개발에서 대안을 찾기 위한 ‘뇌, 행복교육을 말하다 - 2013 청소년 멘탈헬스 심포지엄’이 지난 8월 18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4시까지 서울 플라자호텔 그랜드볼룸에서 교육 관계자와 학부모, 학생 등 6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했다.

이날 심포지엄은 유엔공보국(UN-DPI) 정식지위 NGO기관인 국제뇌교육협회를 비롯해 한국뇌과학연구원,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한국뇌교육원 등이 공동 주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대표 주최기관인 이승헌 국제뇌교육협회장을 비롯하여 안효대, 강은희 국회의원, 이상수 전 노동부 장관, 전세일 브레인트레이너협회장, 중남미 엘살바도르의 글로리아 뮬러 교장 등이 참석했다.  

▲ 뇌교육의 창시자이자 세계적인 멘탈헬스 권위자인 이승헌 협회장이 인사말을 전하고 있다

1부 공식행사에서는 뇌교육의 창시자이자 세계적인 멘탈헬스 권위자인 이승헌 협회장이 인사말을 통해서 “우리 청소년들의 멘탈헬스 문제는 심각하다. 세계 1위의 청소년 자살율, 날로 심각해지는 학교폭력, 세계 꼴지의 청소년 행복지수, 학교를 뛰쳐나와 거리를 헤매는 28만명의 청소년, 이것이 대한민국 청소년과 교육의 모습이다” 면서 그 대안으로 “우리나라 교육법 제 2조에 대한민국의 교육이념은 홍익인간이라고 되어 있다. 홍익인간은 자기만의 성공과 행복을 우선하지 않고, 모두가 건강하고 행복하고 성공하는 것을 생각하고 행동하는 사람이다. 홍익인간의 교육이 바로 자기의 가치를 발견하고 실천하는 교육으로 뇌교육이 중요하다”라고 역설했다.

이어 안효대 국회의원(국회 학교폭력대책특별위원회 새누리당 간사)은 축사를 통해 “이번 심포지엄는 21세기 뇌의 시대를 맞이하여 대한민국의 미래인 청소년의 뇌를 올바르게 활용하는 것에 주목하고 있고, 교육의 주체인 교사 학부모 학생 그리고 학교에서의 뇌교육을 도입 후 변화한 사례를 제시하고 있어 교육현장의 목소리를 들어볼 수 있는 기회다” 라고 특히 한국 해외교육원조 성공사례인 엘살바도르 뇌교육 도입 사례를 통해 교육에 희망을 찾아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강은희 국회의원(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은 축사를 통해 “작년 학교폭력에 대한 대책을 세워나가면서 긴급 처방으로 특히 인성부분이 부족하다라고 생각했다” 면서 “널리 세상을 이롭게 하는 홍익인간의 교육을 통해서 학생들이 보다 행복하고 건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뇌교육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전세일 협회장은 축사를 통해서 “전세계적으로 웰빌, 웰니스, 힐링이 유행이다. 이제 건강의 개념도 몸의 건강을 넘어 정신건강이 중요하고, 사회의 건강, 영적인 건강까지도 건강의 개념으로 확대되고 있다” 면서 “뇌교육은 정신을 바로 차리는 얼을 찾는 교육이다. 청소년들이 정신건강을 잘 관리하고 뇌를 잘 활용하여 자신의 가치를 실천해 나가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 엘살바도르 Joaquin Rodezno 학교의 글로리아 뮬러 교장이 초청을 받아 뇌교육 도입성과에 대한 발표를 했다

1부를 마치고 이어 2부 뇌교육의 해외사례가 발표되었다. ‘엘살바도르 학생들의 정서조절 및 자존감 향상을 위한 공교육 지원 - 뇌교육 컨설팅 및 전문교원 양성’이란 교육부 글로벌교육원조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어 높은 교육적 성과를 보인 프로젝트이다. 엘살바도르 수도 근교의 4개 학교에서 진행된 이후 최근 엘살바도르 교육부가 180개 학교로 뇌교육을 확대 도입하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에 4개 학교 중 Joaquin Rodezno 학교의 글로리아 뮬러 교장이 초청을 받아 뇌교육 도입성과에 대한 발표를 했다. 뮬러 교장은 “뇌교육 도입 전에는 학교 폭력이 가장 심각한 수준의 학교였고, 학업 성적도 전 학교에서 꼴찌였다.”면서 “도입 후 선생님과 학생들이 뇌교육 수업을 하면서 변화가 이러났다. 감정과 스트레스를 조절하기 시작했다. 인성도 좋아졌고, 협동심도 생겼고, 수학 분야에 대한 평가에서는 전 학교에서 1등을 차지했다.” 면서 뇌교육의 성과에 대한 감동을 진솔하게 전했다. 

오후 국내 사례발표에는 ‘21세기 뇌융합시대, 대한민국 뇌교육 희망보고서 (김나옥 국제뇌교육협회 부회장)’, ‘지친 교사를 위한 꿈과 열정회복 충전 스토리, 교사힐링캠프 ( 고병진 교사, 홍익교원연합 대표)’, ‘학생 스스로가 만드는 좋은학교 커뮤니티 - 우리들이 만드는 작은 변화가 행복한 학교를 만듭니다 (송슬아 좋은학교 대표 외 학생 2명)’, ‘엄마에서 WEE센터 교육강사로 - 뇌를 잘 아는 부모, 뇌를 잘 쓰는 아이 (김순진 뇌교육 전문강사)’, ‘뇌체조, 명상, 러브핸즈로 바꾸는 학교 변화 보고서 - 해피스쿨 (이윤성 충북 형석중학교 교사, 김진희 서울 상경초등학교 교사)’, ‘해피스쿨 연구사례 발표 (오미경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교수)’ 등 현장에서의 실제적인 사례를 제시했다.

글. 박민수 기자 bangeg@naver.com ㅣ 사진. 임선환 객원기자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