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에 자살 위험 높은 우울증 따로 있다

한국인에 자살 위험 높은 우울증 따로 있다

성균관 의대 삼성서울병원 전홍진 교수팀, 아시아국가 공동연구로 밝혀내

우울증 중에서도 자살, 특히 한국인의 자살과 연관이 큰 우울증 유형을 아시아 공동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규명해 관련 학술지에 발표했다.

성균관대 의대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홍진 교수와 울산대 의대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홍진표 교수팀은 우리나라와 중국, 대만, 싱가포르, 태국, 말레이시아  아시아 6개국 13개 대학병원에서 우울증 환자 547명을 대상으로 국가 간 비교 연구를 진행한 결과 자살 위험도가 높은 우울증 유형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인터넷판 최신호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전홍진·홍진표 교수팀은 국제기분장애학회(International Society for Affective Disorders, ISAD)의 공식 학회지 <Journal of Affective Dis                orders>(정동장애학술지) 최신호에서 아시아 민족에  '멜랑콜리아형 우울증(major depression with melancholic features)'을 보이거나 충동·분노감을 나타내는 경우 일반 우울증보다 자살 위험이 각각 2배 증가한다는 사실을 밝혀낸 연구논문을 게재했다(그림 1).

     


                                   ▲ 그림 1. 멜랑콜리아형 우울증과 멜랑콜리아가 아닌 우울증에서 자살 위험의 비교.

*멜랑콜리아가 아닌 우울증의 자살 위험을 1로 보았을 때 멜랑콜리아형 우울증은 2배의 자살위험을 보임. (연령, 성별, 교육수준, 우울증의 심각도를 통제한 상태에서 비교)                                                                                                                   <자료=삼성서울병원>
 


특히 한국인은 우울증 중에서도 멜랑콜리아 형 우울증이 42.6%로 다른 민족보다 1.4배 이상 높았으며(그림 2), 같은 멜랑콜리아 형 우울증에서도 자살 위험이 다른 민족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3). 미국이나 유럽에서도 멜랑콜리아형 우울증이 더 심한 우울증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자살 위험이 더 높다는 보고는 많지 않았다.     


                                        ▲ 그림 2. 멜랑콜리아형 우울증의 비율의 민족간 차이


멜랑콜리아 형 우울증은 심각한 우울증의 여러가지 유형 중 한 형태이다. 이 우울증을 앓게 되면 즐거운 감정을 못 느끼고 ▲심한 식욕감퇴와 체중 감소 ▲안절부절 못하거나 행동이 느려지며 ▲새벽에 잠자리에서 일찍 깨고 ▲아침에 모든 증상이 더 심해지는 특징을 보인다.

심각한 식욕감소와 새벽에 잠이 일찍 깨는 증상을 보이면서 즐거움을 전혀 느끼지 못한다면 멜랑콜리아형 우울증일 가능성이 높아 전문가 진료가 필요하다.  특히 술로 잠을 이루려고 하게 되면 충동성과 초조 불안이 더 심해져  결국 자살 위험이 더욱 높아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멜랑콜리아 형 우울증이 새벽에 심해지고, 술로 잠을 이루면 금단 증상이 발생하므로 술을 많이 마시는 경우, 특히 새벽 시간에 자살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고 볼 수 있다.      


                                             ▲ 그림 3. 멜랑콜리아형 우울증에서 민족 간 자살 위험도의 비교

                                         *자살 위험도가 1 이상인 경우는 현재 자살위험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음.

 
 멜랑콜리아 형 우울증은 한국과 중국처럼 사계절의 변동이 큰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 더 많이 생기며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덜 생기는 것으로 관찰됐다. 따라서 한국인에서 멜랑콜리아 형 우울증을 보이는 경우 다른 나라의 일반 우울증보다 4배 이상 자살 위험이 증가할 정도로 자살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충동·분노를 보이는 경우도 자살 위험에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충동·분노는 다른 요소를 제한하고 나서도 자살위험도가 2.45배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충동·분노란 타인에 대해서 느끼는 분노와 증오감을 의미한다. 충동·분노는 우울증이 동반되었을 때 주관적으로 더 심하게 느낄 수 있다.  우울증이 매우 심해져서 피해 의식 등의 정신병적인 증상이 시작되는 경우에는 자살 위험도가  급격하게 증가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말이 모두 자기와 관련이 있는 것처럼 느껴지기 쉬운데 이를 '관계사고(idea of reference)'라고 한다.

전홍진 성균관대 의대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우리나라의 자살률이 경제개발협력기구(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인데, 자살의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된 우울증 중에서도 특정 우울증 유형을 다국가 공동연구를 통해 발견해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는 연구”라며 “멜랑콜리아형 우울증 환자에  집중 치료와 사회 관심을 기울인다면 우리나라 자살률을 낮추는 데 진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글. 정유철 선임기자 npns@naver.com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