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방해하는 코골이, 집에서 스마트폰 앱으로 진단한다

수면 방해하는 코골이, 집에서 스마트폰 앱으로 진단한다

UNIST 변영재 교수팀, 센서 복부 부착해 수면무호흡증 진단 결과 91% 정 확

집에서도 스마트폰 앱을 활용해 '수면무호흡증'을 정확히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UNIST 전기전자공학과 변영재 교수 연구팀은 전자기파 기반의 센서를 이용한 복부 부착형 수면무호흡증 진단 시스템을 스마트폰 앱으로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단 하나의 센서로도 각종 바이오 마커의 변화를 민감하게 감지하여, 기존 수면센터에서의 검사와 비교해 91% 이상의 정확도로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할 수 있다.
 

▲ 복부 부착형 수면무호흡증 진단 기술 (UNIST 제공)


복부에 부착하기만 하면 스마트폰 앱을 통해 수면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 스스로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할 수 있다. 센서 작동에서부터 AI 기반 데이터 분석까지 전 과정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기술이다.

기존에는 수면센터나 병원에서 여러 센서를 부착하고 잠을 자면서 수면무호흡증 검사를 받아야 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불편함과 비용이 따랐다. 더구나 국내에서는 이 검사가 1년에 한 번만 건강보험이 적용되어 이용에 제한적이었다.

하지만 이번에 개발된 복부 부착형 진단 시스템은 작고 가벼워 일상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해외 업체의 앱이 수면 중 녹음된 소리만으로 수면 질환 유무를 판독하는 것과 달리, 이 시스템은 복부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수면무호흡 여부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 수면무호흡증 진단 기술 (UNIST 제공)


변영재 교수는 "이번 연구는 첨단 바이오 센서 기술을 통해 사람들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하는 것"으로 "앞으로도 연구 성과를 상용화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변영재 교수가 창업한 UNIST 기술창업기업 ㈜에스비솔루션은 이 기술을 공동 개발하여 다양한 의료기기를 상용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특히 이번 복부 부착형 수면무호흡증 진단기술 개발을 통해 국민 건강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수면의 질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글. 우정남 기자 insight1592@gmail.com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