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지곤지, 잼잼에 우리 아이 뇌가 움직인다!

곤지곤지, 잼잼에 우리 아이 뇌가 움직인다!

[도서] 오래된 미래 전통 육아의 비밀



“왜 책이나 인터넷에서 배운 대로 안 되나요?”

“아이가 뭘 원하는지 모르겠어요!”
“집에 장난감은 많은데 아이와 함께 놀아주는 것이 힘들어요.”

요즘 엄마들의 관심사는 아이를 똑똑하고 독립적으로 키우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인터넷이나 책을 통한 서양식 육아법과 교구 등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아졌다. 문제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라 믿는 방식들을 믿고 따르면서도 엄마들은 자신의 육아방식에 대해 불안해한다는 것이다.

더 많은 정보와 다양한 육아용품, 그리고 영아용 교구의 풍요 속에 사는 이 시대의 엄마들. 하지만 낙관적인 기대와는 달리 육아는 점점 더 혼란스러운 일이 되어버렸다. 게다가 엄마들의 불안감이 커질수록 영아기에 지출되는 평균 양육비 부담도 높아지고 있다. 양적 팽창만큼이나 우리의 육아도 진보하고 있는 것일까?

진정으로 아이와 엄마가 행복한 육아법은 무엇일까. EBS 다큐프라임은 그 해답을 전통육아에서 찾아보기로 하고 전통육아를 과학의 눈으로 재조명했다. 그동안 비과학적이고 구식이라 외면했던 전통육아가 뇌과학, 심리학, 진화론적 관점에서 한국인의 DNA에 가장 적합하다는 것이 여러 논문과 실험을 통해 증명되면서 지식에 묻혀 잃어가는 육아본능을 되찾게 한다.

우리 할머니와 어머니는 5천 년 세월 동안 변함없이 그래왔다. 수많은 세월 동안 대를 이어가며 같은 양육 행위를 반복할 때 우리만의 독특한 양육 DNA가 생기게 마련이다. 지금 아이를 기르는 부모나 아이들의 몸속에도 한국 고유의 DNA가 흐르고 있다.

방송을 책으로 엮은 <오래된 미래, 전통육아의 비밀>은 전통육아법으로 육아의 길을 잃고 헤매는 이 시대 엄마들에게 아이와 엄마 모두 행복할 수 있는 육아의 노하우를 전수한다.

총 4장으로 구성된 책의 첫 장은 ‘유모차의 발생지 미국에서 포대기를 만나다’로 미국에서 일고 있는 애착육아 운동과 함께 엄마들 사이에서 핫 아이템으로 떠오른 포대기를 소개한다. 두 번째 ‘외면당해 온 전통육아, 과학의 눈으로 보다’는 포대기로 아이를 업으면 다리가 휜다, 함께 자면 의존적인 아이가 된다 등 진실로 굳혀진 속설을 과학적으로 증명한다.

특히 책은 우리 선조가 해왔던 태교방법과 놀이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우리가 어릴 때부터 무심코 해왔던 ‘곤지곤지, 잼잼’은 이미 5천 년 전 고조선 단군왕검 시대부터 내려온 전통 육아법으로 조상의 교육에 대한 지혜와 철학이 담겨 있다. 단동십훈은 단동치기 십계훈(檀童治基 十戒訓)의 줄임말로 ‘단군왕검의 혈통을 이어받은 배달의 아이들이 지켜야 할 열 가지 가르침’이란 뜻이다.

또한, 엄마의 무릎에 앉아 무심코 ‘도리도리, 곤지곤지’를 따라 했지만, 이 안에는 뇌 발달을 활성화시키는 엄청난 사실이 담겨 있다. 손으로 하는 놀이가 유난히 많아 눈과 손의 협응을 돕고 손근육을 발달시키며 자연스럽게 뇌 발달을 돕는다. 엄마와 아이가 살을 부대끼며 눈을 마주치며 노는 사이 애착형성이 절로 되어 두뇌와 정서발달에 도움이 된다.

아이의 뇌는 세 살이 되면 성인 뇌의 80퍼센트 이상 성장한다. 이것은 태어난 이후 2∼3년의 경험이 뇌 발달에 엄청난 작용을 한다는 의미이다. 우리의 전통육아법에 아이를 건강하고 똑똑하게 키우는 해답이 담겨 있었다.

글. 전은경 기자/ hspmaker@gmail.com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