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7년_ 뇌, 행복교육을 말하다

창간 7년_ 뇌, 행복교육을 말하다

Editor's Message

발행 첫해 ‘뇌’를 키워드로 하는 생소한(?) 잡지에 호기심을 가진 사람들은 과학자나 의사, 관련 분야 종사자가 대부분이었는데, 이번 7주년 축하 메시지로 인증 샷을 보내주신 애독자분들은 고등학생, 대학생, 교사, 연구원, 소방관 등 다채롭기 그지없습니다.

<브레인> 7년, 우리나라에 다가온 ‘뇌’의 변화는 적지 않습니다. 교원 연수 코스에 앞다투어 뇌과학, 두뇌학습, 뇌교육 등 ‘뇌’를 키워드로 한 교육 과정이 개설되고, 병원과 연구소에서만 쓰이던 뇌파(EEG) 신호 측정 기술이 교육 시장에 도입되어 생체 신호를 기반으로 한 전문적인 두뇌 상태 검사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두뇌 훈련 분야 ‘브레인 트레이너’ 자격은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국가 공인화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의 뇌과학은 선진국을 쫓아가는 형국이지만, 뇌 활용 분야에서만큼은 전 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뒤지지 않을 만큼 빠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제는 방향이 더욱 중요한 시점입니다. 이승헌 국제뇌교육협회장은 “철학이 없는 뇌 융합은 의미가 없다”고 했습니다. 모든 사람이 가진 뇌, 그 뇌를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에 따라 인생의 가치가 달라지듯 ‘홀로 똑똑한 뇌’가 아니라 ‘함께하는 좋은 뇌’를 가진 사람을 이제는 시대가 요구하고 있습니다.

21세기 뇌 융합 시대의 흐름에 따라 서구에서 생겨난 뇌과학에 기반한 뇌기반교육, 신경교육이 학문적 영역에 머무르고 있는 데 비해, 한국에서 가장 처음 정립된 ‘뇌교육’이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는 것은 뇌의 실제적 변화를 가져오는 체험적 교육 방법론의 바탕에 글로벌 휴먼 정신으로 평가받는 ‘홍익인간’의 철학과 정신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 호 <브레인>은 창간 7주년 기념으로 ‘휴먼 브레인: 창의 인성, 뇌를 만나다’라는 주제로 집중 리포트를 준비했습니다. <브레인> 일곱 돌, 교육현장의 많은 주목을 받은 ‘2013 청소년 멘탈헬스 심포지엄’의 캐치프레이즈였던 ‘뇌, 행복교육을 말하다’처럼 좋은 뇌를 향한 인식 변화에 단단한 밑거름이 되길 고대합니다.  

 

 
 
 

장래혁 한국뇌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 <브레인> 편집장
 
www.braindesign.me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