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기존 구동 속도 대비 2배 이상 빨라진 스프링 형태의 형상기억합금 구동기를 이용해 사람과 동물의 골격근처럼 힘을 낼 수 있는 ‘형상기억합금 인공근육’을 개발하였다.
한국연구재단은 오일권 교수 연구팀(한국과학기술원, 제1저자 오세웅 박사과정)이 인공 근육을 활용한 착용형 의수와 고양이의 독특한 발톱 구조에서 착안한 생체모방 로보틱스를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연구의 성과는 국제학술지‘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에 5월 2일 게재되었으며, 내부 표지 논문으로 선정되었다.
▲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에 5월 2일 게재된 학술지의 내부 표지 논문으로 선정된 이번 연구 (이미지 출처=한국연구재단)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미리 기억된 형태로 수축하고 뒤따르는 냉각에 의해 이완되며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스프링 형태의 형상기억합금은, 가볍고 큰 힘을 낼 수 있기에 인공근육으로서 응용하기 최적이었으나, 느린 구동 속도로 인해 이를 반복적인 움직임을 요구하는 곳에 응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일반 전자부품이나 칩 등의 온도를 빠르게 낮추기 위해 표면에 뾰족한 방열판을 부착하는 것에서 착안, 스프링 형태의 형상기억합금 표면에 뾰족한 구리 나노와이어를 성장시켜 형상기억합금의 표면적을 대폭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외부로의 열 발산을 촉진시켜, 부피가 큰 냉각 장치 없이 형상기억합금을 빠르게 냉각시키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인공근육은 일반 형상기억합금에 비해 2배 이상 가속된 구동 속도를 보였으며, 인공근육을 이용해 실제 손과 비슷한 속도로 손가락을 굽히고 펼 수 있는 의수를 개발했다.
▲ 구리 나노와이어가 표면 성장된 형상기억합금 인공근육 (이미지 출처=한국연구재단)
또한, 연구팀은 개발된 인공근육이 동물의 골격근과도 유사하다는 점에 집중하여 구동 속도가 빨라진 인공근육을 생체모방 로보틱스로도 응용하였다.
▲ 구리 나노와이어가 표면 성장된 형상기억합금 인공근육이 적용된 의수 및 생체모방 로보틱스(이미지 출처=한국연구재단)
고양이가 필요에 따라 개폐식 발톱(retractable claw)을 드러내고 감추며 지면과의 마찰을 제어하는 특징에 주목하여 생체모방 개폐식 발톱을 구현한 것으로, 기존 보행 로봇 발바닥에 부착된 단순 고무를 대체해, 울퉁불퉁한 길과 같은 험지를 걸을 때 발톱을 이용하여 보행 로봇이 중심을 잡고 안정적인 보행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는 실제 근육의 움직임과 유사한 속도로 인공근육이 움직이도록 하여 미래 로봇, 착용형 근육, 휴먼 증강 슈트, 보조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근육이 적용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리더연구지원사업(창의연구)의 지원으로 수행되었다.
글. 이지은 기자 smile20222@gmail.com | 사진 및 자료출처=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