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해체 현상, 단순히 개인 사생활 문제일까?

가족해체 현상, 단순히 개인 사생활 문제일까?

가정이 무너지고 있다 - 2

2012년 05월 11일 (금) 22:02
조회수20857
인쇄 링크복사 작게 크게
복사되었습니다.

 

5월은 가정의 달이다. 5월에는 가족간의 사랑을 확인하는 날이 많이 있다.  당연히 사랑하고 사랑받을 관계여야 하지만, 당연한 것이 당연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에 굳이  날까지 정했다. 5일은 어린이날, 8일은 어버이날, 11일 입양의 날, 21일 부부의 날.

하지만 이 모든 날을 혼자서 보내야 하는 '나홀로족'이 해를 거듭할수록 늘어나고 있다.  가장 기본적인 공동체 단위인 가족, 한국의 가정이 점점 해체의 위기에 몰려있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0년 인구총조사 전수집계결과>를 보면 2010년 우리나라 가족의 24.3%가 부부로 이뤄진 2인 가구로 가장 주된 가구 유형이였던 4인가구의 관념을 깨고 새롭게 등장했고, 1인 가구가 23.9%로 그 뒤를 이었다. 이런 추세라면 부모와 자식이 함께 사는 핵가족 형태가 점차 해체되어 1인 가구의 증가 추세가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2010년~2035년 장래가구 추계>자료에 따르면 가구 수는 2010년 1735만9000가구에서 2035년 2226만1000가구로 늘어난다. 인구 증가율이 2030년 이후 감소세로 전환되지만, 미혼 이혼 사별등을 이유로 가구 분화와 해체가 진행되기 때문이다.

특히 고령화, 결혼 기피와 늦은 결혼으로 인한 독신자 증가 등의 이유로 2035년에는 100가구 중 34가구가 혼자 살 것으로 예측했다. 2인 가구를 합하면 절반 이상인 68.3%가 1·2인 가구로 구성된다. 1·2인 가구는 2010년 현재 835만5000가구에서 2035년 1520만7000가구로 증가한다. 또한, 75살 이상 가구 중 1인 가구는 2010년 48만4천 가구(45.1%)에서 2035년 210만5천 가구(51.4%)로 4.3배 증가한다.

가족해체 현상은 단순히 개인의 사생활의 문제로만 볼 수 없다. 가정에서 시작된 문제는 곧 사회문제로 이어지고, 국가 경쟁력에도 영향을 미치며, 전지구적 평화문제에도 이어진다는 사실을 더이상 간과할 수 없다.

가정의 문제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나?

그렇다고 이혼하는 사람들을 일일이 다 막을수 있으랴? 이혼하면 아이들은 좋은 시설을 만들어 사회가 공동으로 키우면 되는 것이고, 혼자 먹고 살 정도의 경제력이 있으면 조금은 심심하겠지만 무리하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삶을 꾸려가면 되는 것이다. 그러다 늙어 힘이 없으면 노인시설을 찾아가 남은 여생을 마무리하면 되는 것이다.

하지만 시설을 늘리고, 자원봉사자들을 양성하고 복지정책을 최고로 한다고 해서 이혼이나 가정문제로 인해 양산된 사회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는 없을 것이다.

문득 정약용의 『목민심서』에 나오는 '환관곤궁' 편이 생각이 난다.


"홀아비, 과부, 고아, 늙어 자식이 없는 사람은 사궁(四窮)이라 하는데 이들은 곤궁하여 스스로 일어날 수 없고, 남의 도움을 받아야 일어설 수 있다.

혼인해야 할 나이가 지났으나 시집가고 장가가지 못한 자는 마땅히 관청에서 성혼을 시켜야 한다. 가난하거나 자신이 못나서 당시의 혼기(여자 16세, 남자 20세 전)을 넘어버린 노총각 노처녀를 국가가 적극적으로 성혼정책을 펴야 하며, 돈이 있는데도 혼기를 넘긴 사대부의 경우에는 그 아비에게 벌까지 내렸다.

홀아비와 과부된 자들도 중매를 하여 양쪽이 합의를 하는 경우에는 '짝지'를 이어주는데 이는 지극한 선정이다. "


이렇듯 가정공동체의 문제는 일개 집안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적인 문제로 인식해야 함을 엿볼수 있다. 5월 가정의 날을 맞아 이혼률을 줄이고 더욱 행복한 가정공동체를 만들어 가기 위해서 개인과 국가가 함께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하지 않을까? 

글. 김묘정 기자 aycjd@hanmail.net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