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력결핍장애(ADHD)를 앓고 있는 소아·청소년 10명 중의 8명이 남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9일 최근 5년간(2007~2011년) 20세 이하 소아ㆍ청소년을 대상으로 'ADHD(과다활동성 주의력결핍장애)'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진료인원은 2007년 4만 8,000명에서 지난해 5만 7,000명으로 5년 새 약 9,000명이 증가(18.4%)했다. 총진료비는 2007년 138억 원에서 2011년 223억 원으로 5년간 약 85억 원이 증가(61.1%)했다.
ADHD 진료인원은 남성이 매년 80.7~80.9%, 여성이 19.1~19.3%의 점유율을 보여 남성 진료인원이 여성보다 4.2배 많았다.
남성이 많은 이유는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지만 유전적 성향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보통 처음 발병연령이 3~6세이며 이때 남자 아이들이 훨씬 활동적이고 산만할 것으로 본다. ADHD 환자를 나이별로 보면, 지난해를 기준으로 7~13세의 점유율이 68.2%였고 10세가 11.2%, 9세가 10.6%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나타냈다.
ADHD 발병원인과 치료법은
주의력이 부족해 산만하고 과다활동, 충동성을 보이는 상태를 말한다. ADHD를 인지하지 못하고 방치할 경우 아동기 내내 여러 방면에서 어려움이 지속되고, 성인이 되어서도 증상이 남게 될 수 있다.
발병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알려진 바가 없지만 전문가들은 신경ㆍ화학적 요인, 유전적 요인 및 환경적 요인들이 상호작용을 하는 복잡한 연관성이 있다고 본다.
ADHD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는 약물치료로 알려졌다. 그러나 약물치료로만 완치되지 않는다. 질환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아이를 도와줄 수 있게 하는 부모교육, 아동의 충동성을 감소시키고 자기조절 능력을 향상시키는 인지행동 치료, 기초적인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치료, 놀이치료 등 다양한 치료가 아이의 상황에 맞게 병행하는 것이 좋다.
글. 윤관동 기자 kaebin@brainworld.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