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 점차 심각... 전지구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

지구온난화 점차 심각... 전지구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

세계기상기구, 2016년 전 지구 이산화탄소 상승폭 최근 10년 대비 50% 증가 발표

2016년 전지구 이산화탄소 농도가 가파르게 증가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세계기상기구(WMO)는 3일 2016년 전지구 이산화탄소 연평균 농도가 403.3ppm을 기록했으며, 전년 대비 3.3ppm으로 대폭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10년 동안의 연평균 증가량(2.2ppm/yr)보다 50% 더 크며, 산업화 이전 대비 45% 증가한 기록이다. 

▲ 연평균 전지구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량과 한반도 이산화탄소 증가량을 나타낸 자료 <출처=기상청>


이산화탄소는 가장 중요한 온실가스 중 하나로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물질의 영향력을 나타내는 척도이자, 지구온난화에 영향을 미치는 복사강제력의 65%를 차지한다. 이산화탄소는 지난 10년간 복사강제력 증가의 82% 이바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는 인간 활동의 영향과 함께 2015년부터 2016년 엘니뇨 현상으로 인한 이산화탄소의 자연적인 배출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는 기상청(청장 남재철) 안면도 기후변화감시소의 관측결과, 2016년 이산화탄소 연평균 농도는 409.9ppm으로 2015년 대비 2.9ppm 증가한 적으로 관측되었다. 최근 10간 한반도 이산화탄소 농도의 연평균 증가량은 2.3ppm으로 전 지구와 유사한 수준이지만, 이산화탄소 농도는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적극적인 행동이 필요하다.

▲ 전지구와 한반도, 중국, 일본의 연평균 이산화탄소 농도 비교 <출처=기상청>


이에 기상청은 국정과제인 기후변화 적응능력 제고의 차질 없는 이행과 기후변화에 대한 통합적인 정보서비스 및 국제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오는 6일부터 7일 서울 글래드호텔에서 '기후변화감시 정책지원과 기술교류 국제워크숍'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한편, 기상청은 온실가스 정책지원을 위해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온실가스 분석 결과를 기상청 기후정보포털(www.climate.go.kr) 등을 통해 발표한다.


글. 황주연 기자 br-md@naver.com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