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가 행복한 세상은 절대 불가능한가?

모두가 행복한 세상은 절대 불가능한가?

다큐 [스라이브(Thrive)]와 [체인지(Change)] ㅣ 인류의 행복, 그 시작을 에너지에서 찾다

경제적으로 풍요로워질수록, 과학기술이 발달할수록 인간은 행복해질 것이라는 믿음이 있었다. 이러한 믿음은 '기득권'이라 불리는 정치인 기업가 언론인 등을 통해 집단적인 신념이 되었다. 자본주의 체제를 운영하고 있는 거의 모든 나라는 이 신념을 원동력 삼아 국가를 이끌고 있다.

하지만 여기서 짚고 넘어가자. 우리가 물질적으로 더 누리면서 더 행복해지고 있을까? 경제발전이 행복증진과 비례하지 않는다는 것은 각종 지표와 수치로 드러나고 있다. 단적인 예로 우리나라만 봐도 알 수 있다. 대한민국은 지난 2007년 '선진국 진입'을 상징하는 국민소득 2만 달러를 달성했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자살률은 사상 최악, 세계 1위를 기록하고 있다. 모두가 행복한 세상은 절대 불가능하다는 말인가.

2011년 미국에서 개봉한 다큐멘터리 하나가 세간의 관심을 끌었다. 바로 <스라이브(Thrive, 번영)>가 그것이다. <스라이브>는 끝없이 물질문명을 추구하지만 이대로는 절대 모두가 '번영'할 수는 없다고 이야기한다. 극소수의 기득권자들이 에너지와 식량을 통제하고 있고 이것은 돈의 지배로 이어져 모든 것을 장악해버리고 있다는 것이다.

혹자는 이를 두고 가치 없는 음모론이라 했고 또 다른 이들은 기득권자들이 숨기고 있는 진실을 들춰낸 시대의 역작이라 평가했다. 하지만 우리가 눈여겨봐야 할 것은 <스라이브>가 제안하는 해결책에 있다.

다큐멘터리는 전반에 걸쳐 완벽한 균형을 이룬 에너지장, '토러스(Torus)'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리고 모두가 번영하기 위해서는 한 사람 한 사람이 깨어나야 한다고 주장한다. 아주 작은 것부터라도 자기 내면을 느끼고 토러스를 느끼는 이들이 늘어나 '집단적 깨달음'이 일어날 때 진정한 행복, 진정한 번영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는 올해 초 미국에서 개봉해 일본과 한국 등지에서 상영되며 파란을 일으킨 다큐멘터리 <체인지(Change)>를 통해 좀 더 구체화할 수 있다. <체인지>는 모두가 더 나은 삶을 그리고자 하지만 모든 이가 그것을 결과로 만들어내지 못했던 이유와 새로운 변화를 만들 수 있는 비밀을 전하고 있다.

<체인지>의 제작자이자 총감독인 이승헌 총장은 "자신의 참가치를 발견하고 그것을 실행에 옮기는 것, 삶의 주인으로 선택하고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는 에너지를 느낄 수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생명 현상"이라고 강조했다.

'에너지', 즉 기운을 느끼기 위해 <체인지>가 제안하는 것은 바로 '자기명상'이다. 자력을 통해 내 몸의 에너지장, 즉 <스라이브>가 전하는 토러스를 쉽게 느낄 수 있다는 것을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설명한다. 한 사람의 에너지는 전체의 에너지, 이 지구의 에너지와도 연결되어 있기에 한 사람의 선택이 중요하다. 그런 사람들이 모여 전체 에너지를 새롭게 '체인지'할 수 있다는 것을 야기한다.

강만금 기자 sierra_leon@live.com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