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화된 식습관이 원인? '장의 게실병' 환자 급증

서구화된 식습관이 원인? '장의 게실병' 환자 급증

진료인원 연평균 10.1% 증가, 30~50대가 65.3% 차지

서구인에게 많이 발생하는 '장의 게실병'을 앓은 사람들이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50대에서 급증하고 있다. 

장의 벽이 바깥쪽으로 동그랗게 꽈리(주머니) 모양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게실증'이라 하며, 게실 안으로 오염 물질이 들어가서 염증이 생기는 것이 ‘게실염’이다. 이를 통칭해서 '장의 게실병'이라고 한다.

장의 게실은 구미지역 국가, 즉 고지방, 저섬유질 음식을 주로 섭취하는 국가에서 높은 빈도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양인의 경우 장의 게실병이 비교적 드물게 발생하지만 최근 식생활의 서구화와 인구의 고령화로 인해 장의 게실병이 증가하고 있다.

장의 게실병은 그 자체로는 대부분 증상이 없으나 게실에 염증(게실염)이 발생하면 통증, 발열, 구역, 배변습관의 변화 등을 호소하며, 합병증(천공, 출혈, 누공, 복막염 등)이 생기면 그에 따른 소견을 보일 수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이 최근 5년간(2008~2012년)의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하여 '장의 게실병'에 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8년 2만5천명에서 2012년 4만명으로 5년새 약 1만5천명이 증가(61.7%)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10.1%로 나타났다. 총진료비는 2008년 약 133억원에서 2012년 약 217억원으로 5년새 약 84억원이 증가(63.5%)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10.3%로 나타났다.

'장의 게실병' 진료인원의 성별 점유율은 2012년을 기준으로 남성이 약 56.8%, 여성은 약 43.2%로 남성 진료인원이 여성에 비해 약 1.3배 더 많았다. 2008년~2012년 진료인원의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과 여성 모두 10.1%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의 게실병' 진료인원의 10세 연령별 점유율은 2012년을 기준으로 50대가 24.1%로 가장 높고, 40대 23.8%, 30대 17.5%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40~50대의 중년층에서 47.9%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어, 장의 게실병을 앓고 있는 진료인원 2명중 1명(47.9%)은 40~50대의 중년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미만에서는 2.7%로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30대에서부터 많은(17.5%) 진료인원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주로 중년층에 집중되는 양상을 보인다.

게실이 발생하는 원인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고령, 식사습관, 변비 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본다.  돌출되는 게실이 장벽의 일부(점막과 점막하조직)에 국한되는 경우를 '가성 게실'이라 하고, 근육층을 포함한 장벽의 전층이 돌출되는 경우를 ‘진성 게실’이라 한다.

글. 정유철 기자 npns@naver.com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