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은 오복 중 하나로 꼽힐 만큼 중요하다. 하지만 정작 눈 건강이 안 좋은 사람은 늘어나고 있다. 우리나라 50세 이상 눈 질환 환자 가운데 백내장, 망막장애, 녹내장 환자는 매년 10% 증가하고 있다. 10대 전후로는 굴절·조절 장애 환자가 많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은 한국 11일 ‘눈의 날’을 맞아 2007년에서 2011년까지, 최근 5년간 ‘눈 및 눈 부속기관 질환((H00-H59, 이하 '눈' 질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주요 ‘눈’ 질환 연령대별 진료인원 비중을 살펴보면 10대 전후로 ‘굴절·조절장애’가 고령층은 ‘백내장’이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낮은 연령대는 굴절·조절장애, 결막염, 다래끼 환자가 많았으며 10대 이상으로는 대부분 연령대에서 각막염 환자와 눈꺼풀 장애 환자가 비슷한 수준으로 분포했다. 고령 환자는 백내장, 망막장애, 녹내장 질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안과 박종운 교수는 주요 눈 질환의 원인, 치료법, 예방 및 관리요령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눈’ 질환의 종류 및 증상
10대에서 흔한 ‘굴절⋅조절장애’란 흔히 말하는 근시, 난시, 원시를 말한다. 이 시기에 굴절이상을 교정해 주지 않으면 시력이 발달하지 못한다. 학교생활이나 친구와 관계가 힘들어질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시력발달 시기를 놓쳐 약시에 이르게 되어 평생 낮은 시력으로 살아야 하므로 소아에게 굴절 이상 교정은 중요하다. 부모나 보호자는 자녀를 주의 깊게 관찰하여 시력저하 증상이 발견되면 안과 진료를 받아야 한다. 적어도 유치원 입학할 때쯤에는 안과를 방문하여 정확한 시력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나이가 들면서 늘어나는 질환은 백내장, 녹내장, 망막질환이 있다. 말 그대로 나이가 늘면서 서서히 증가하는 이 질환들은 조기에 발견하기가 쉽지 않은 만큼, 정기 종합검진 때 안과 검진도 반드시 포함한다. 종합 검진에서 이상 소견이 나왔다면 특이 증상이 없더라도 적어도 한 번 정도는 안과를 내원하여 이들 질환에 대해서 정확한 정밀 검사를 받아야 한다.
‘망막질환’ 환자가 증가하는 이유
망막질환은 워낙 다양하여서 이유를 한마디로 말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최근에 증가하고 있는 성인병과 관련성은 짚고 넘어가야 한다. 대표적인 성인병인 당뇨와 고혈압, 고지혈증 등은 모두 망막 혈관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망막 혈관질환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성인병 관리에 많은 신경을 써야 하며 성인병을 진단받으면 정기적인 안과 검진 역시 필수이다.
건강한 눈 유지를 위한 평소 관리법
모든 신체기관이 그러하듯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휴식이 꼭 필요하다. 책이나 모니터를 지나치게 오래 볼 때는 잠깐씩 눈을 편안하게 감아준다. 아니면 먼 산이나 빌딩처럼 멀리 시선을 두고 바라보면 눈에 피로를 줄일 수 있다.
눈 건강을 위해서는 청결에도 유념해야 한다. 눈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손을 잘 씻어야 한다. 제일 좋은 것은 눈을 만지지 않는 것이지만 자기도 모르게 손이 가는 경우가 많다. 그런 만큼 청결한 손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짙은 눈 화장도 피하는 것이 좋으며 화장했을 때는 잘 지우도록 한다.
콘택트렌즈나 서클렌즈의 사용은 미용상으로는 많은 장점이 있으나 그로 말미암은 부작용 또한 만만치 않기에 렌즈관리에 철저하여야 한다. 야외처럼 자외선이 심한 곳에서는 선글라스를 착용하며, 격한 운동을 즐길 시에는 보안경을 사용하여 눈을 보호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눈에 이상한 증상이 생겼을 때에는 대수롭지 않게 그냥 지나치지 말고 안과를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오랫동안 건강하게 눈을 유지하는 방법이 될 것이다.
글. 김효정 기자 manacula@brainworld.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