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중추 ‘뇌간’ - 2

생명의 중추 ‘뇌간’ - 2

뇌 들여다보기

브레인 32호
2012년 02월 23일 (목) 11:14
조회수24587
인쇄 링크복사 작게 크게
복사되었습니다.


교뇌는 중뇌와 연수 사이에 있으며, 앞쪽으로 돌출해 있다. 교뇌는 주로 소뇌와 대뇌 사이의 정보 전달을 중계한다. 연수와 함께 호흡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교뇌그물형성체 pontine reticular formation
수면과 각성의 조절은 그물형성체의 기능 중 하나이다. 교뇌 그물형성체는  자세를 조절하는 데에도 관여한다.

교뇌핵 pontine nucleus
대뇌의 운동피질에서 발생한 신호가 소뇌로 이동하는 중계소 역할을 한다. 학습과 운동 기술을 기억하는 과정에도 관여한다.



연수는 뇌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며, 척수와 만나는 부위로 생명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한다.

연수피라미드 medullary pyramid
대뇌에서 척수로 내려가는 수많은 축삭다발로 구성된다. 피라미드에는 피질척수로가 있으며 이 신경로는 수의운동을 통제한다. 연수와 척수의 경계에서 손가락을 맞물린 것 같은 작은 뭉치를 만드는 피라미드 교차를 통해 운동피질에서 내려온 신호는 좌우가 바뀌어 전달된다. 이를 통해 신체의 좌측이 우뇌의 명령을 수행하고, 신체의 우측이 좌뇌의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

올리브핵 olivary nucleus
소뇌와 연결되어 운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전정신경핵 vestibular nucleus
평형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립로핵 nucleus of solitary track
연수 윗부분에 위치하며 시상과 연결된 고립로핵은 자율적 조절 기능을 담당하는 중요한 중추이다. 고립로핵은 내장으로부터 온 정보를 통합하여 뇌간의 자율신경계 핵들을 조율한다. 또한 혀에서 오는 미각신호가 고립로핵으로 전달된다.

내측섬유띠 medial lemniscus
체감각정보를 시상까지 전달하는 축삭다발이다. 내측섬유띠는 연수, 교뇌, 중뇌를 두루 거치면서 형성되는데, 여기에 포함되어 있는 축삭들은 시상의 복후측핵(ventral posterior nucleus)의 뉴런들과 시냅스를 이룬다. 

글·강윤정 chiw55@brainmedia.co.kr  
일러스트레이션·차귀령 la.pace@hotmail.com
도움 받은 책·《의학신경해부학》 이원택 외, 《인지신경과학과 신경심리학》 마리 배니치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