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가정형 수면질환 진단시스템 개발

KAIST, 가정형 수면질환 진단시스템 개발

유-헬스케어(U-Healthcare) 연구수행

2011년 04월 20일 (수) 10:46
조회수3798
인쇄 링크복사 작게 크게
복사되었습니다.


KAIST(총장 서남표) 전기및전자공학과 유회준 교수팀이 ‘가정형 수면다원검사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 PSG)는 병원 내 검사실에서 하룻밤을 보내며 잠을 자는 동안의 생체 신호를 모니터링해 불면증이나 코골이 등 수면 관련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는 검사법이다. 그러나 병원 내 검사는 기기의 크기나 이물감, 주변 환경 변화 등에 의한 제약으로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유 교수팀이 개발한 시스템은 사용자의 수면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면봉 하나의 무게보다 훨씬 가볍게 제작된 것이 특징. 수면 중 뒤척임으로 장치가 떨어지더라도 이를 자동 감지해 스스로 다른 센서를 연결시켜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계속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지능형 집적회로가 탑재됐다. 또 생체신호 수집, 통신 및 처리 전반에 필요한 회로도 초저전력으로 적용, 전체 시스템이 작은 동전형 배터리 하나만으로도 연속 10시간 이상 작동돼 수면에 충분한 동작시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무게를 크게 줄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수면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병원이 아닌 집에서 평소처럼 잠자는 동안 심장박동, 뇌파, 호흡 등의 생체신호를 자동 측정한다. 밤새 저장된 생체 신호를 주치의에게 전송하면 주치의는 이를 분석해 원격 처방하는 방식이다. 유 교수팀은 이 시스템을 기반으로 KAIST 내 병원과 함께 유-헬스케어(U-Healthcare)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한편 유 교수팀은 이번 연구 성과를 세계적인 반도체 학술대회인 '국제 고체회로 콘퍼런스'(ISSCC)에서 발표했다. 관련 논문은 미국 ISSCC에서도 우수 논문으로 선정됐으며, 일본의 유명잡지인 '닛케이 일렉트로닉스' 1월호에 차세대 건강ㆍ의료기기용 반도체 분야 하이라이트 논문으로도 소개됐다.

글. 이수연  brainlsy@brainmedia.co.kr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