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이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긍정적 평가 68.6점

인공지능이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긍정적 평가 68.6점

인공지능이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에 국민의 68.6%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성균관대 SSK 위험커뮤니케이션연구단(단장 송해룡 교수, 이하 위험컴연구단)이 ‘인공지능 믿을 수 있나?’ ‘위험하지 않을까?’라는 주제로 인공지능에 관한 국민 인식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는 지난 11일부터 13일까지 국내 거주 만 20세 이상의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우리 사회에 인공지능이 끼칠 영향력은 어떠한가’라는 질문에 긍정적 응답 높아

인공지능이 우리 사회에 끼칠 영향 정도를 평가한 결과 68.6점으로 긍정적 평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자가 72.4점으로 여자(64.7점)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연령별로는 50대 이상이 73.1점으로 가장 긍정적 평가를 보인 반면 20대는 62.5점으로 가장 낮은 긍정적 평가를 보여 나이가 많을수록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인공지능의 대표적 응용 기술인 ‘인공지능 로봇’에 대한 신뢰도는 63.7점으로 비교적 높은 신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자가 65.0점으로 여자(62.3점)보다 약간 더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50대 이상이 68.7점으로 가장 높은 신뢰도를 보였고, 20대는 54.1점으로 가장 낮은 신뢰도를 보여 나이가 많을수록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 인공지능이 우리사회에 끼칠 영향력 평가<자료=SKK 위험 커뮤니케이션 연구단>



인공지능이 초래할 미래 위험에는 우려와 경계심 보여

인공지능의 사회적 영향력은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데 반해 향후 무인자동차와 로봇 등 인공지능이 초래할 수 있는 사고 위험은 심각하게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이 초래할 사고의 위험 정도를 조사한 결과 38.4점으로 다소 위험할 것이라는 인식을 드러냈다. 성별, 연령별 역시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미래에 인공지능이 가져올 위험 중에서 가장 고민하고 대처가 필요한 부분에 관한 질문에는 ‘인공지능 오류로 인한 인명피해(인간 공격, 교통사고)’가 전체 응답의 48.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인간의 일자리 대체’가 33.7%로 나타났다. 그 밖에 ‘인공지능 서비스 소외계층 발생’ 9.4%, ‘강한 인공지능의 인간 정책 및 의사결정 참여’ 8.1%의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모든 그룹에서 '인공지능 오류로 인한 인명 피해'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지만 연령별로는 ‘인간의 일자리 대체’항목에 대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20~30대에게 심각한 이슈인 취업 문제에 대한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 인공지능이 초래할 사고의 위험정도 인식<자료 제공=SKK 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단>


조사를 기획한 위험컴연구단 김원제 책임연구원은 “알파고와 무인자동차와 같은 인공지능이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면서 우리 국민은 인공지능의 사회적 영향력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반면에 인공지능의 사고 위험에는  우려하는 응답이 높았는데 불확실한 미래 위험도 우려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결국 인공지능에 관해 우리 국민의 인식은 긍정적 인식과 우려가 교차하는 복합적 감정 상태(mixed feeling)인 것으로 풀이된다”고 분석했다.

정부 주도의 법·제도 마련을 통한 선제적 대응방안 고민 필요

인공지능이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을 책임져야 할 주체들은 묻는 질문에서는 정부가 전체응답의 36.1%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기업이 27.7%, 개발자(과학자) 22.2%, 사용주체(시민) 13.5% 순으로 나타났다.

위험컴연구단 조항민 선임연구원은 “인공지능이 초래할 위험들은 아직 심각하지는 않지만 최근 무인자동차 사고 등의 사례를 통해 국민이 인공지능에 대한 우려를 갖게 된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인공지능과 로봇의 확산으로 인한 사회경제적인 부작용과 규범적 이슈는 중요한 위험 이슈가 될 것이다.”고 지적했다.

또한 “인공지능이 초래할 위험의 가장 중요한 책임주체로 정부를 꼽은 것은 무엇보다도 정부 주도의 법과 제도 마련이 시급하다는 의미”라며 “중요한 기술 위험 쟁점이 될 수 있는 인공지능의 판단, 책임, 권한 부여의 문제를 정부를 중심으로 선제적으로 대비하는 것이 긴요하다”고 제언했다.



글. 김민석 인턴기자 arisoo9909@naver.com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