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뇌상식] 왜 바람을 피우는 것일까?

[두뇌상식] 왜 바람을 피우는 것일까?

오늘의 두뇌상식 - 38


최근 유명 결혼정보업체에서 바람을 피워 연인과 헤어진 경험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 그 때, 남성 62.8%가 자신이 바람 피워서 연인과 헤어진 적이 있다고 대답했다.

왜 그들은 바람을 피우는 걸까? 그리고 남녀를 불문하고 한 번 바람 피운 사람은 왜 계속해서 바람을 피우는 것일까?

인류사적인 문제로 보면 남자는 더 많은 종족을 번식하기 위해, 여자는 육아에 더 적합한 남자를 찾기 위해 본능적으로 바람을 피도록 되어 있다고 한다. 하지만 뇌 과학 측면에서는 체내 호르몬의 변화가 원인이라는 주장을 한다.

남녀가 만나 사랑에 빠지기 시작하면 뇌에서는 무수히 많은 전달물질이 분비된다.

상대방이 무조건 예뻐 보이고 마음이 설레게 하는 페닐에틸아민, 연인을 떠올리기만 해도 행복한 기분 상태로 만드는 도파민, 이유 없이 히죽히죽 웃게 만드는 엔도르핀, 육체적 쾌감을 주는 노르에피네프린이 왕성하게 분비돼 말 그대로 사랑에 폭 빠진 상태가 된다.

하지만 연애 초기 뇌 속의 불꽃 튀는 황홀경은 유감스럽게도 무제한 지속되지 않고, 대뇌에서 이 호르몬들에 대한 항체가 생기면서 더 이상 화학 물질이 생겨 나지 않게 된다. 결국, 사랑의 유효 기간은 항체가 생기기 전까지의 18개월, 길어야 30개월에 지나지 않는다고.

이러한 현상은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더 빨리 진행된다.

페닐에틸아민이 지배하는 시기가 끝나면 이제, 다른 전달물질이 두 사람의 관계를 책임지게 된다. 바로 결속력과 친밀감을 형성하도록 하는 옥시토신과 바소프레신이 사랑에 빠진 사람들을 오랫동안 사랑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 천연 아편제는 두 사람 간에 안정감과 애착을 만들어 관계가 더욱 돈독해지도록 만든다.

바소프레신과 옥시토신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있다. 북아메리카 중서부 대초원에 서식하는 들쥐 불스와 산에서 서식하는 들쥐는 생김새가 거의 비슷하지만 연애관계에 대해서는 상반된 양상을 보인다.

대초원에 서식하는 불스는 평생 한 파트너와만 짝짓기를 하며, 직접 만든 둥지에서 새끼를 함께 돌보며 서로를 평생 아껴준다. 산에 사는 들쥐는 반대로 수컷은 새끼를 낳아도 책임을 지지 않을 뿐 아니라 곧장 다른 암컷과의 짝짓기에 돌입한다.

이 차이는 뇌의 바소프레신호르몬 차이에서 나온다. 대초원 들쥐 불스의 수컷에게는 바소프레신을 차단하는 약물을 투여하고, 암컷에게는 옥시토신을 차단하는 약물을 투여했다.

그러자 대초원 들쥐 수컷은 여러 암컷을 상대로 다양한 짝짓기를 시도했고 암컷 또한 짝짓기 후, 파트너에게 흥미를 곧바로 잃었다. 반대로 산에 사는 들쥐에게 바소프레신과 옥시토신 수용체 양을 늘리자, 대초원에 사는 들쥐처럼 한 파트너에게만 전념하며 새끼를 키우는 데 전념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 사람과의 연애에 정착하게 만드는 것은 결국, 심장을 두근거리게 하는 호르몬과 애착을 유발하는 호르몬 중 어느 호르몬이 강하게 작용하느냐에 따라 좌우된다. 페닐에틸아민 감소가 일으키는 신체적 금단을 이기지 못한다면 금새 새롭게 가슴 두근거리게 하는 연인을 찾아 떠나게 된다.

반대로 친밀감과 결속력에 작용하는 옥시토신과 바소프레신이 주는 애착감이 뇌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면 한 명의 애인과 오랫동안 사귀게 될 것이다. 그리고 편안해진 애인과의 사이만큼 아늑한 것은 없다고 생각하며 서로에게 충실할 것이다

글. 김효정 manacula@brainworld.com
도움. 《호르몬은 왜》, 마르코 라울란트 지음, 프로네시스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