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엄한 음악을 들으며 온몸에 전율을 느끼거나, 마음이 언짢을 때 좋아하는 음악으로 위안을 받은 경험은 누구나 있을 것이다. 샤워를 하면서 콧노래를 흥얼거리는 것은 건강에 좋다. 아니 정확히 말하면 ‘뇌’에 좋다. 노래하거나 음악을 들을 때 뇌는 신나게 불꽃을 터뜨리며 다양한 활동을 시작한다.
Part 1. 뇌는 음악을 어떻게 처리할까?
연구 결과에 의하면 소리를 듣는 청각 영역뿐만 아니라 뇌의 다양한 영역이 함께 활동한다고 한다. 가장 활동이 두드러진 영역은 양쪽 반구의 위측두이랑 부분이다. 거기에 측두엽, 두정엽, 전두엽과 변연계, 시상, 소뇌도 함께 활성화되었다. 뇌에서 음악을 처리하는 과정이 극도로 복잡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단순한 멜로디를 처리할 때도 뇌에서는 인식, 집중, 기억 등 다양한 인지 과정을 거친다.
Part 2. 불면증 치료하기
가벼운 음악을 들으면 잠이 드는데 도움이 된다. 그런데 캐나다의 연구진들은 개인이 좋아하는 특정 가수의 음악이나 고전 음악이 아닌 ‘개인의 뇌파에 맞게 선별된 음악’으로 불면증을 치료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 특별한 뇌파에 맞게 조종된 음악을 듣게 되면 불안감이 덜해지고, 아늑하게 수면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뇌파음악으로 2년 이상 불면증에 시달렸던 사람들이 효과를 보았다고 한다.
Part 3. 뇌종양 치유하기
음악치료로 뇌종양까지 호전된 사례도 있다. 뇌 손상으로 인해 환자들은 음의 진동을 느끼지 못하지만, 특정 음 하나에 마비된 몸의 어떤 부위가 반응하면서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그 음을 중심으로 음악적 자극을 계속 주면, 진동이 몸으로 전달되어 감각기능이 점차 회복된다는 것.음악으로 의식을 잃은 코마 환자를 깨웠다는 보고도 있다.
Part 4. 공간지각능력 향상시키기
음악을 듣거나 악기를 연주하는 것이 두뇌발달에 좋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 특히 ‘모차르트 효과’는 많은 음악 중에서도 모차르트 음악이 두뇌개발에 효과적이라는 학설이다. 미 캘리포니아 어바인 대 골든 쇼 박사의 연구결과로 이 학설은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연구팀은 대학생들에게 모차르트의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D 장조(K 448)’ 를 들려주고 공간지각력 검사를 실시했는데 다른 음악을 듣거나, 음악을 듣지 않은 학생들보다 모짜르트의 음악을 들은 학생들의 점수가 더 높았던 것이다. 워싱턴 대학의 프란시스 라우셔 박사의 연구결과, 역시 모짜르트 소나타를 태내의 쥐에게 들려주면 출생 후 아기 쥐들은 시행착오를 덜 겪으며 미로를 더 빨리 찾았다. 쥐들의 공간지각 능력이 향상된 것이다. 공간지각능력은 수학이나 음악, 과학적 재능을 타고난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
Part 5. 기억력 향상시키는 악기 연주
음악감상 뿐 아니라 악기연주도 두뇌개발에 좋다고 한다. 음악훈련이 단어 기억력도 높여준다는 사실은 홍콩의 심리학자들에 의해 밝혀졌다. 연구에 의하면 유년기에 악기 연주법을 배운 성인들은 일반인에 비해 평균 16% 이상 청각적 기억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들려주는 단어를 잘 기억해냈는데 간단한 형상을 기억하는 시각적 기억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고 한다. 미국 하버드대 음악과 뇌 연구소 소장인 트레모 박사는 “음악 연주는 다양한 인지기능과 운동기능을 자극하며 이것은 다른 지적인 영역으로 전환될 수 있다”며, “음악교육은 아이들의 감성을 풍부하게 하며 지능발달을 촉진한다”고 말했다.
글. 브레인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