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인셀럽] 무서워도 끌리는 공포의 비밀, 뇌에 있다?

여름 납량특집 ‘공포와 뇌’


여름이면 어김없이 극장가에 서늘한 바람이 분다
. ‘여름=공포영화는 누구나 아는 공식이다. 무더위에 지친 사람들은 영화관을 찾아 공포영화로 피서를 즐기곤 한다.



다양한 이슈를
로 풀어보는 브레인셀럽 15회에서는 여름 납량특집으로 공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브레인셀럽 MC인 장래혁 교수(글로벌사이버대학교 뇌교육학과 학과장)와 함께 토크를 나눌 셀럽에는 글로벌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이자 소향 심리 상담센터의 대표인 김은숙 교수가 출연한다. 

김 교수는여름=공포영화의 공식이 성립하는 이유로 를 꼽는다. 공포영화를 볼 때 오싹해지는 느낌은 우리가 추위를 느낄 때 일어나는 신체반응과 같기 때문이다. 우리 몸은 놀라거나 무서운 장면을 보면 피부수축이 일어나고 수축된 피부가 늘어나며 으스스한 느낌이 들면서 식은땀이 나게 된다. 김 교수는 이 때 몸에 있던 땀이 증발하게 되고 서늘한 느낌이 들기 때문에 공포영화나 무서운 장면을 보면 춥게 느껴진다고 말한다.
 


공포의 감정을 느끼면서도 우리는 왜 공포영화를 찾게 되는 것일까
? 이에 대해 김 교수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과 아드레날린에서 그 이유를 찾는다. 공포감이 느껴지면 뇌에서 도파민과 아드레날린이 분비되는데 이 호르몬은 분비되는 즉시 쾌감을 불러일으킨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눈을 가리고, 귀를 막아가면서도 무서운 공포영화를 계속해서 보는 이유다.  
 


이밖에도 브레인셀럽
15공포와 뇌에서는 세상에 알려진 다양한 공포증이 소개 되고, 공포증에 대한 실제 상담 사례와 공포증을 극복하는 방법 등이 소개 된다.

 브레인셀럽 15회 공포와 뇌는 1여름 납량특집 나 지금 떨고 있니?’2세상에 알려진 161가지 공포, 당신이 갖고 있는 공포증은?’을 각각 718일 월요일, 725일 월요일 오전 11시에 유튜브 브레인셀럽 채널에서 시청할 수 있다.
 

조하린 (브레인셀럽 PD/brainceleb2021@gmail.com)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