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휴먼테크놀로지] 장내미생물이 면역력에도 관여해

휴먼테크놀로지 / 기조 강연 2 ‘장내미생물과 뇌 커넥션 그리고 면역’

브레인 89호
2021년 10월 29일 (금) 14:15
조회수376
인쇄 링크복사 작게 크게
복사되었습니다.
지난 7월 17일, 인간을 향한 기술의 가치를 알리는 ‘2021 휴먼테크놀로지 컨퍼런스’가 열렸다. BTS의 모교로 세계에 이름을 알린 글로벌사이버대학교가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한국뇌과학연구원과 함께 주최하고 《한국대학신문》, 《헬스조선》이 후원한 이 행사에 국내외에서 1만3,000여 명이 참여해 온라인 생중계를 시청했다.

▲ 에머런 마이어 UCLA 교수, 오펜하이머센터 스트레스 및 회복력 연구소 소장


기조 강연 2 ‘장내미생물과 뇌 커넥션 그리고 면역’

21세기 의학 패러다임 전환을 상징하는 키워드로 꼽히는 ‘장’. 기존에 소화기관으로만 여겼던 장은 장내미생물의역할과 함께 장-뇌 축(Gut-Brain Axis)기능이 밝혀지면서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고 있다. 장-뇌 축 분야의 세계적 석학인 에머런 마이어 교수는 장내미생물군의 상호작용과 만성적인 내장 통증분야의 개척자이다. 메이어 교수의 저서는 국내에 《뇌와 장의 은밀한 대화, 더커넥션》으로 번역, 출간됐다. 

“지난 10년 동안 장내미생물에 대한 관점에는 큰 변화가 있었다. 장내미생물은 생명체의 지능적인 부분이다. 그들은 최대 2000만 개의 미생물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는데, 이는 인간 유전자 2만 개를 훨씬 능가하는 숫자이다.”

“미생물 유전자는 훨씬 더 광범위하고 많은 기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중 대부분은 우리가 잘 알지 못한다. 미생물은 방대한 정보를 유전적으로 저장함으로써 세 가지 유형의 신호를 생성한다.”

“그 세 가지 중 하나는 우리가 먹는 식단에서 파생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우리 몸이 생성하는 분자로부터 파생된다. 나머지 하나는 미생물 그 자체로부터 파생되는데, 미생물 막은 우리의 면역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분자를 보유하고 있다.”

“미생물, 장과 연관된 면역 시스템 사이의 상호작용은 장내 면역력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결국 우리 몸 전체의 감염을 막는 역할을 한다. 최근에 발표된 연구에서도 면역 신호가 이러한 장과 간의 연결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의 식단과 영양 상태가 우리의 장내미생물 군집과 면역 시스템의 구성과 작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과학적인 필요와 기회 그리고 도전의 영역이다. 향후 20~30년 내에 이러한 연구가 주요 연구 주제가 될 것이다.”

정리_《브레인》편집부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