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 치료 새로운 원천 기술 확보

알츠하이머 치료 새로운 원천 기술 확보

경상대 김명옥 교수팀, 천연단백질 작용 메커니즘 첫 규명

국내 연구팀이 천연단백물질 '오스모틴'(Osmotin)이 알츠하이머 치료에 뛰어난 효과가 있음을 세계 최초로 규명하고, 치매 치료를 위한 새로운 원천 기술을 확보했다. 

 국립 경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김명옥 교수팀은 식물에서 분리한 천연단백물질 오스모틴이 알츠하이머 치료에 뛰어난 효과가 있음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으며 또한 치매 치료제로서 원천기술 개발뿐만 아니라 상용화 성공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11일  밝혔다.

 김명옥 교수팀은 식물이 스트레스를 받으면 축적되는 단백질로 뇌신경 세포 퇴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오스모틴'이 알츠하이머 원인물질인 아밀로이드 베타(Aβ)를 감소하고,  인지기능을 회복한다는 것을 동물실험으로 확인했다. 

▲ 경상대학교 김명옥 교수.

 김명옥 교수에 따르면, 치매는 신경세포 사이의 아밀로이드 베타(Aβ) 축적, 신경 세포 내의 세포골격단백질의 경화, 인지기능의 감퇴라는 세 가지 특징이 나타난다. 이 세 가지 특징을 감소하거나 억제하는 약물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지만,  주로 합성 화합물로 이루어져 부작용이 나타나는 경향이 크다.  결과적으로 치매의 증상을 완화하는 정도에 그칠 뿐 치료제로서 효율은 크게 좋지 않았다.

 연구팀은 기존 연구와 차별화한 전략으로 치매의 근본적인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가설로 그 하위 신호 경로인 AMPK(당과 지질대사에 관여하는 핵심 인산화 효소), SIRT1( 대사 조절에 관여하는 단백질) 및 SREBP2(콜레스테롤의 합성에 관여하는 단백질)와 같은 단백질들의 활성을 조절했고, 이를 통해 아밀로이드 베타 축적을 감소시켰고, 인지기능을 향상시켰다. 또한 SREBP2 발현의 현저한 증가로 치매 특징인 아밀로이드 베타 생성이 늘어나는 것을 확인하여, 치매의 발병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이 물질은 동물세포가 가진 구조와 흡사한 점이 많아 인체에 부작용이 적고 혈액-뇌 장벽 통과가 용이하여 뇌신경세포 퇴행에서 유래되는 치매 및 대사질환 치료에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번 연구는 천연단백물질을 이용하여 치매치료 및 대사질환 등에 활용하려는 것으로 인체 흡수를 위한 펩타이드 형태로 제작하고, 그 기작을 증명하여 치매치료물질로서 활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연구팀은 이 연구 성과를 미국과 국내에 특허 3건을 등록하고 국제특허 5건을 출원 중이라며 연구성과 중 일부 치매치료제 개발은 국내 기업에 기술을 이전해 상용화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김명옥 교수는 “이번 연구는 알츠하이머 병 및 퇴행성 뇌질환의 근본적인 발병 원인을 규명할 수 있는 시발점을 제공해 줄 뿐만 아니라 치료의 한계점을 해결해 줄 수 있는 밑바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사진 설명: 오스모틴에 의한 아밀로이드 베타 축적 감소. 고령화 된(12개월, 16개월= 치매의 중증환자, 약 인간의 65-80세) 알츠하이머 생쥐모델(APP/PS1)에 오스모틴을 투여하면 아밀로이드 베타 축적이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연구결과는 정신의학ㆍ신경과학ㆍ세포생물학 분야의 세계적 권위지인 『분자 정신의학』(몰레큘러 싸이카이어트리, Molecular Psychiatry, 인용지수 15.147, JCR 상위 0.7%) 온라인에 3월 22일 게재되었으며, 5월 중 표지논문으로 게재될 예정이다.

 

글. 정유철 기자 npns@naver.com    사진. 경상대학교

ⓒ 브레인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뉴스

설명글
인기기사는 최근 7일간 조회수, 댓글수, 호응이 높은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