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와 강제징용 등 역사문제와 관련해 한일 대학생 간에 인식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연구팀과 대한민국 홍보 연합 동아리 '생존경쟁'팀은 한·일 수교 50년을 맞아 지난달 13일부터 열흘 동안 양국 대학생 각 250명을 대상으로 서울과 도쿄의 중심 거리에서 한일 관계 발전을 위한 설문조사를 했다.
조사팀은 양국 대학생에게 '일본군 위안부와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일본 대학생들은 "일본 정부는 이미 충분히 배상"(37.6%)가 많았다. 이어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와 배상이 필요하다(32.4%)". "이 문제에 대해서는 더는 언급을 원치 않는다"(30.0%)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 대학생의 94.4%는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와 배상이 필요하다"고 대답했다.
'역사 교과서 개정이나 일본군 위안부 강제성 부정 등 아베 총리의 역사관에 근거한 한국에 대한 외교 정책'을 묻는 항목에 일본 대학생(50.4%)과 한국 대학생(64.8%) 반수 이상이 "한국과 관계 개선을 위해 조정이 필요하다"고 대답했다.
일본 대학생들은 "논란이 있으나 일본의 발전을 위해 불가피하다", "올바른 방향이므로 지지한다"(각 18%)라고 밝혔지만 13.6%는 "국제 사회에서 이미지 타격으로 실패한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양국 이미지와 관련, 한국 대학생들은 보통(40.8%)·나쁘다(37.6%)·좋다(11.6%), 일본 대학생들은 보통(36.4%)·좋다(32.4%)·나쁘다(14%)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양국의 관계 발전에 가장 큰 걸림돌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는 한국 대학생들이 "독도, 일본군 위안부 등 역사 인식 차이"(78.4%)라고 꼽은 것에 반해 일본 대학생들은 같은 의견(46.4%)이라고 밝히면서 "아베 정권의 정치적 성향"(19.2%), "국민 간의 감정"(18.8%), "각 분야의 경쟁 구도"(15.6%)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양국 대학생들은 한일관계의 개선으로 "역사 공동 연구"(이하 한국 58.4%·일본 32.0%)를 첫 번째로 꼽았다. 이어 "정상회담 추진"(20%·25.6%), "민간 교류 확대"(13.2%·22.8%), "문화 콘텐츠 교류"(4.4%·10.8%), "경제 협력"(4%·8.8%)이라고 응답했다. 지난 50년간 양국 교류의 중대한 사건을 묻는 항목에 한국 대학생들은 한일 수교 체결(38%), 월드컵 공동 개최(30.8%)를 꼽았고, 일본 대학생들은 월드컵 공동 개최(34%), 한일 문화 개방(28.8%)을 골랐다.
한국 대학생들은 '일본 하면 떠오르는 인물'에 아베 총리(68.4%),피겨 선수 아사다 마오(12%),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4.8%) 등을 꼽았고 일본 대학생들은 박근혜 대통령(24.4%), 김연아(18.8%), 배용준(14.4%), 카라(12.0%), 이건희 회장(10.8%), 싸이(9.2%) 등을 선택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각각 한국어와 일본어로 자기 기입식 설문지법을 활용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4.4%p다.
글. 윤한주 기자 kaebin@lycos.co.kr